사회 사회일반

지방선거 D-9 "北風… 盧風… 누가 더 셀까"

위력따라 선거판도 변화… 여야 지도부 촉각곤두<br>일부선 "북풍 이미 반영" "진보 결집 한계" 분석도

SetSectionName(); 지방선거 D-9 "北風… 盧風… 누가 더 셀까" 위력따라 선거판도 변화… 여야 지도부 촉각곤두일부선 "북풍 이미 반영" "진보 결집 한계" 분석도 고광본기자 kbgo@sed.co.kr 임세원기자 why@sed.co.kr

천안함 침몰사건으로 비롯된 '북풍(北風)'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년을 맞아 점화된 '노풍(盧風)'이 격돌하며 6ㆍ2 지방선거판이 요동치고 있다. 일단은 보수층이 결집하며 수도권 등 격전지에서 여권후보들이 앞서는 모양새지만 북풍에 대한 반감과 노풍의 영향으로 진보층도 동시에 일부 뭉치는 모양새다. 지금까지는 북풍에 힘입어 한나라당이 7~8곳의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앞서가고 민주당 등 야권의 우세지역은 4~5곳에 머물렀으나 앞으로 북풍과 노풍 중 누가 더 위력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선거양상의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북풍의 경우 야당의 정권심판론을 잠재우는 효과를 발휘하며 한나라당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데 이론이 없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 등 여권 지도부가 연일 민주당에 북한책임론을 외면하고 있다고 공격하며 안보이슈를 부각시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천안함사건은 정권심판론이나 4대강 이슈의 초점을 흐리게 해 여당에 상당히 유리한 구도를 만들어줬다"고 분석했다. 다시 말해 지난 1987년 대선 직전 KAL기 폭발테러처럼 안보이슈가 선거판을 좌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여론조사회사인 디오피니언과 리서치앤리서치가 17일과 11일 조사한 결과 '지방선거 후보 선택시 천안함 사건의 영향을 받느냐'는 질문에 각각 36.1%와 38.2%가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다만 북풍이 이미 기존 여론조사에 대체로 반영이 돼 있다는 분석도 만만찮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국민들이 현명하기 때문에 북풍이 예전만큼 위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이 내세우고 있는 정부여당의 안보무능과 안보상업주의에 대한 비판론이 어디까지 통할지도 변수다. 민주당 등 야권이 반전카드로 삼고 있는 노풍의 파급력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우선 지난해 전국적으로 노 전 대통령 분향소에 500만명의 추모객이 몰릴 정도로 우호적 여론이 잠재돼 있는 상황에서 야권의 친노후보(광역단체장 9명, 기초단체장 22명 등)들에 대한 동정 여론이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론조사상 5~10%에 달하는 야당의 숨은 표가 투표장으로 나온다면 한나라당이 앞서고 있는 수도권도 박빙양상이 점쳐진다. 민주당 등 야권이 23일 봉하마을과 서울분향소 등 전국적으로 노 전 대통령 추모행사에 대대적으로 참여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여론조사회사인 더 피플의 장강직 대표는 "정부여당이 천안함 후속조치로 계속 북풍여론을 몰아가겠지만 오히려 앞으로는 노풍을 통해 진보층이 결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노풍을 효과적으로 결집하기에는 한계도 만만찮다는 지적이다. 정치평론가인 고성국 박사는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서울시장 선거에서 한명숙 민주당 후보가 아직까지는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노풍이 확산되지 못하는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적으로 심판 받았던 친노인사들의 부활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한나라당의 비판이 얼마나 통할지도 변수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