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 펀드닥터] 주식형 수익률 0.06% 중소형은 0.01% 부진



지난주에는 금융업종의 강세로 금융업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16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일반 주식형 펀드는 최근 일주일동안 0.06%의 수익률을 올렸다. 코스피200인덱스 펀드가 0.41%의 수익률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고, 코스닥지수의 하락으로 중소형 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0.01%로 부진했다. 채권시장의 약세로 채권비중이 높은 채권혼합펀드는 -0.0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순자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419개 국내 주식형펀드 중 316개 펀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84개 펀드가 코스피지수 상승률(0.58%)을 웃도는 성과를 기록했다. 금융 업종의 강세로 관련 ETF가 수익률 상위권에 랭크됐고, 금융 및 보험업종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다. 반면 현대차그룹ETF와 IT ETF 및 테마펀드, 중소형주식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펀드별로 살펴보면 '우리KOSEF Banks상장지수 (주식)' 펀드가 8.53%의 수익률로 주간성과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미래에셋맵스 TIGER BANKS 상장지수(주식)'이 8.51%, 'IBK그랑프리포커스금융[주식]'이 4.54%의 수익률을 올렸다. 이들 펀드는 대부분 금융업종 강세에 따른 수혜를 누린 상품으로 주간 수익률 상위권을 휩쓸었다. 채권시장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2.0%) 동결 및 금융완화 기조유지 발언에도 불구,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 상향조정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확산되고, 국고채 5년물 입찰 부진, 최근 금리하락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 3월 취업자 증가 및 실업률 감소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경향의 약화 등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 본 자료는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조언이나 매 매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의 내용은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도 보증하지 않습니다. ◇대상
순자산액 상위 펀드, 운용사별 가나다 순으로 나열. ◇유형구분
주 식 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초과 펀드.
혼 합 형: 약관상 주식투자한도가 10~70%인 펀드.
채 권 형: 주식투자가 불가능하면서 채권, CP 등 채권형 자산에만 투자하는 시가평가 펀드.
해외주식형: 약관상 최고 주식투자한도가 70%를 초과하면서 투자가능 주식의 2/3이상을 해외주식(또는 해외특 정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 크게 복합지역 투자형, 특정국가 투자형, 섹터주식 투자형으로 구분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