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종부세 아파트 내년 13만가구 늘듯

시세 80%가 6억 넘는 집 29만7,000가구 달해<br>서울은 21만4,000여가구로 73%나 급증


내년에는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인 공시가격 6억원 초과 아파트가 올해보다 10만 가구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아파트 한 채만 있어도 종부세를 부담해야 하는 가구 수도 그만큼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말 현재 ‘평균 시세의 80%’가 6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수는 총 29만7,440가구로 지난해 말의 16만1,057가구보다 84.68%(13만6,383가구)나 증가했다. 건설교통부가 지난 13일부터 내년도 종부세 등 과세 기준이 될 공시가격(1월 1일 기준) 산정에 들어간 점을 감안하면 현 시세의 80% 선에서 내년 공시가격이 책정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 말 시세의 80%가 6억원을 넘는 아파트 수는 12만3,816가구였으나 지금은 21만4,098가구로 72.92%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성동구가 지난해 말 132가구에서 현재 1,627가구로 1,132.58%나 급증했고, 동작구가 241가구에서 2,966가구로 1,130.71%, 마포구가 210가구에서 2,577가구로 1,127% 늘었다. 6억원 초과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역시 강남구(6만8,188가구)로 지난해(4만2,938가구)보다 58.81% 증가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말 3만6,305가구에서 현재 8만636가구로 122.11% 증가했고, 이 중 고양시가 지난해 628가구에서 올해 1만1,692가구로 전국 최고인 1,761.78%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과천시는 지난해 말 1,744가구에서 현재 7,469가구로 328.27%, 남양주시는 134가구에서 912가구로 580.60% 늘었다. 한편 경기도 광주(120가구), 군포(807가구), 김포(74가구), 수원(644가구), 의왕(206가구), 파주시(66가구) 등 6곳과 서울 관악(263가구), 노원(290가구), 성북(186가구), 중구(982가구) 등 4곳은 올해 처음으로 시세의 80%가 6억원을 넘는 아파트가 등장했다. 김규정 부동산114 차장은 “올들어 집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에 내년 공시가격이 6억원을 초과하는 종부세 대상 아파트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며 “공시가격이 오르는 데다 종부세 과표적용률이 올해 70%에서 내년에는 80%로 높아져 보유세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