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2월 27일] 실망만 남긴 한나라당 의원총회

세종시 문제를 풀기 위해 닷새 동안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가 결국 입장차이만 확인한 채 소득 없이 끝나 국민에게 실망을 안겨줬다. 절충안 도출은커녕 세종시 '수정안'과 '원안'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는 친이계와 친박계는 말 그대로 물과 기름 같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당초 끝장토론을 기대했으나 지난 25일부터는 친박계 의원들이 대거 불참해 김빠진 의원총회가 됐다. "정치는 모든 것을 녹일 수 있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고언도 효과가 없었다. 이는 한나라당에 세종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다. 이제 충분한 의견개진과 토론을 거쳤으므로 이 대통령과 정부가 직접 나설 수밖에 없게 됐다. 수정안이든 절충안이든 타협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언제까지나 세종시에 발목이 잡혀 국력을 소비할 수는 없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부분개헌의 필요성을 비롯해 행정구역 개편, 선거법 개혁 등 처리가 시급한 개혁과제도 산적해 있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제한적 개헌의 필요성만 해도 세종시와 마찬가지로 여당 내 계파대립으로 표류해 논의가 언제 시작될지 예측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번 의총을 거치면서 한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김무성 의원이 제안한 '7개 독립기관' 이전 등 절충안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물과 기름처럼 대립하는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양쪽이 양보하는 절충안이 대안일 수 있다. 7개 독립기관에 일부 부처를 추가하고 세종시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절충안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친이계나 친박계 모두 유연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 먼저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만나 각 계파가 대화와 타협을 이룰 공간을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 감정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계파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소할 방안이 무엇인지를 논의한다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대화를 해보지도 않고 덮어놓고 반대하고 상대방을 헐뜯는 것은 한나라당을 위해서도 바람직스럽지 않다. 한나라당은 국민에게 희망을 줬다가 실망만 남긴 의원총회를 되돌아보고 계파 간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당 지도부의 리더십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서도 엄중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논란을 마무리하고 세종시에 대한 당론을 결정할지 아니면 국민투표까지 갈지 최종 선택을 위한 수순에 들어가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