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퇴임 앞둔 한은 임원들 거취 싸고 '설왕설래'

이주열 부총재 등 내달 임기 마쳐… 금융연수원장 자리 등 눈치싸움 치열

요즘 한국은행 임원들은 고민이 많다. 설왕설래도 한창이다. 단순하면서도 중요한 이유가있다. 다음달 임기만료로 퇴임하는 한국은행 임원들의 거취가 주제다. 교체를 앞둔 한은 금융통화위원은 물론 한국은행 임원들의 낙하산 자리였던 한국금융연수원장과 한국외국환중개 사장 자리를 놓고 눈치 싸움이 치열하다.

13일 한은에 따르면 다음달 이주열 한은 부총재와 김재천ㆍ장병화ㆍ이광준 부총재보가 임기를 마치고 한은을 떠난다.


이들은 퇴임과 동시에 자리가 비게 되는 한국외국환중개 사장과 한국금융연수원장 자리에 자천타천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치열한 자리다툼이 벌어지는 자리는 한국금융연수원장. 금융권 안팎에서는 김윤환 현 원장의 연임 가능성과 함께 이주열 부총재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김재천ㆍ이광준 부총재보도 거론된다. 금융연수원장은 관례상 한은 임원 출신들이 꿰찬 자리였으나 현 정부 들어 이 공식이 깨지면서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인수위 자문위원을 지냈던 김 원장이 임명됐다. 일부에서는 현재 금통위원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채희율 경기대 교수의 선임 가능성도 흘러나온다. 채 교수는 현 정부 출범 전 인수위 상임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관련기사



금융권에서는 금융회사 직원들의 교육을 전담하는 기관의 특성상 외부인사보다는 내부 교수가 선임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연수원 내 고참 교수 일부가 원장 자리에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태준 한국금융연구원장 후임으로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가 내정되면서 윤 교수와 연구원장 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학계의 유력 인사들도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는 후문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연수원장 인사는 금통위원 인사 결과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김재천 부총재보는 금통위원 후보로도 거론된다. 하지만 당연직 금통위원인 총재ㆍ부총재에 더해 한은 집행부 출신이 3명이나 금통위원을 차지하는 것은 전례가 없어 가능성은 희박하다.

외국환중개 사장은 전통적으로 한은 부총재보 출신이 맡는 자리로 장병화 부총재보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은 부총재보 출신인 김병화 현 사장은 다음달 임기 만료로 퇴임한다. 주택금융공사 부사장 자리도 관심거리다. 한국은행이 주택금융공사에 추가 출자하기로 한 만큼 한은은 내심 부사장 자리를 자신들 몫으로 가져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경우 김재천ㆍ이광준 부총재보 중 한 사람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