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너도나도 “억울”… 쏟아진 이색 항변들

장재식 "DJP공조위해 바꿔" 이훈평 "처벌과 교육 다받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리스트`에 포함된 여야 의원들 대다수는 저마다의 사정과 논리를 들이대며 "억울하다"고 입을 모았다. D상호신용금고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이유로 명단에 오른 한나라당 이양희 의원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D상호신용금고에서 4,000만원 받은 사실이 없어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는데 무슨 말이냐"고 흥분했다. 안기부의 수지김 사건수사와 관련, 낙천 대상에 포함된 이해구 의원도 "그때 나는 국내파트 담당이었다"며 "사건이 해외에서 발생, 조작돼서 해외에서 발표까지 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색깔론 발언이 이유가 된 김용갑 의원은 "낙천ㆍ낙선운동 단체들이 스스로 친북 좌파임을 증명하는 것 아니냐"고 다시 색깔론을 폈다. 민주당에서 한나라당으로 당을 옮겼던 이근진 의원은 "당적을 바꿔 음지(야당)로 온 나는 지목이 되고 양지(여당)쪽을 택한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한명도 없는데 총선시민연대가 제2의 노사모냐"고 항의했다. 같은 이유로 명단에 들어간 김원길 의원도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을 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해 민주당을 떠났는데 뭐가 문제냐"고 항의했다. 또 `신한국당à자민련à한나라당`으로 이어진 당적변경이 문제가 된 안택수 의원은 "신한국당 당적을 가진 적이 없고, 자민련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됐다"며 "자민련을 탈당한 것은 DJP연합에 반대한 소신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탈당을 이유로 낙천 대상자에 포함된 민주당 유재규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후단협소속으로 탈당설이 돌긴 했지만 탈당한 적이 없다"면서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펄쩍 뛰었다. SK에서 4억원을 받은 혐의가 이유인 한화갑 의원은 "실정법을 어긴 것 때문이라면 달게 받겠다"면서도 "대통령과 친하지 않은 사람들의 이름이 (낙천 대상자 명단에) 다 들어 있더라"고 꼬집었다. 자민련으로 갔다가 민주당으로 돌아온 게 빌미가 된 장재식 의원은 "DJP공조 유지를 위해 당의 지시를 따른 것 뿐"이라며 "당적변경이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고 주장했다. 음주운전 때문에 명단에 포함된 이훈평 의원은 "음주운전이 적발됐을 때 의원 신분 밝히지 않고 일반 시민과 동등한 처벌과 교육까지 받았다"며 억울해 했다. 이만섭 전국회의장은 "가장 깨끗한 원로 정치인인 나를 포함시켜 가치가 상실됐다"고 주장했다. 이윤수 의원은 "내가 징역을 살았다고 돼 있는데, 나는 징역을 산 적이 없다"며 "사실이 왜곡됐다"고 발끈했다. 후단협 소속으로 탈당했다가 돌아온 최선영 의원 등은 "정권재창출을 위한 일시 탈당이 잘못이냐"고 반박했다. 열린우리당에서도 2002년 대선 당시 후단협 소속으로 민주당을 탈당했다가 낙천 대상에 포함된 의원들이 우는 소리를 냈다. 김명섭 의원은 "후보단일화를 위한 노력까지 매도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덕배 의원도 "정동영 의장과 김한길 총선기획단장이 입장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대우로부터 1억원의 정치자금을 받은 전력 때문에 소장파 중 유일하게 낙천 대상자에 포함된 송영길 의원은 "잘못한 행위에 대해선 그 때도 반성했고 지금도 반성하고 있다"면서도 "낙선했을 때의 일을 들춰내 비리 의원으로 모는 것은 유감"이라고 억울한 심경을 내비쳤다. <박정철 기자,범기영기자 parkjc@hk.co.kr>

관련기사



박정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