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현대차 노조, 무분규 넘어 협력시대 열어야

현대차 노사가 임단협을 잠정 타결하고 6일 조합원 찬반투표만 남겨놓고 있다. 10년 만에 ‘임단협 무파업 합의’를 이끌어낸 것이다. 지난 1987년 설립 이후 1994년을 빼고 20년 내내 파업을 해오던 현대차 노조인 만큼 올해 임단협을 분규 없이 타결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보다 타결로 방향을 돌린 데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없지는 않다. 우선 지난 8월31일 조합원 투표에서 파업 찬성률이 62.9%로 과거보다 10%가량 낮은 데서 알 수 있듯이 평노조원들의 파업반대 의견이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정치파업에까지 나서는 등 올해 두 차례의 파업에 이어 또다시 파업을 벌인다면 조합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해외판매 목표를 줄이는 등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이 보여주고 있는 위기의식이다. 미국 시장에서 일본차들의 견제가 고조되고 있는 등 현대차의 글로벌 전략 자체가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10년 만에 이룬 임단협 무파업 합의의 이면에는 회사 측의 양보가 있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6년 동안 50% 가까이 임금이 올랐음에도 다시 5.8%의 기본급 인상과 50%포인트의 상여금 인상, 정년 1년 연장에다 무상주 30주 지급, 각종 성과급 및 격려금이 더해졌다. 더욱이 해외 공장의 신ㆍ증설이나 생산차량 수출 때 심지어는 신차종 개발 때도 노사협의를 거치도록 해 사실상 노조 경영참여의 길을 텄다. 모두 146가지에 이르는 합의사항은 노조에는 큰 수확이겠지만 앞으로 경영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번 합의는 동종업계나 협력업체 등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제 현대차 노조는 잠정합의안을 통과시키고 올해를 무분규 노사협상의 원년으로 삼아 낮은 생산성을 다시 높이는 기회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현대차는 올해만도 이미 13일이나 파업, 3,500억원의 손실액을 기록했다. 더 이상 연례적인 파업으로는 현대차의 미래가 없을 뿐더러 결국 일자리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현대차 노조는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등에 휘둘리지 말고 회사발전을 위한 상생협력을 실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