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자리 창출 경기도가 앞장선다] <4·끝> 경기도형 사회적기업 육성한다

우선 자립 도운후 민간운영 기업 전환 유도<br>도청내 부서·산하 공공기관 자매결연 체결<br>1시군 1사회적기업 육성사업도 적극 벌여<br>자발적 기부금 등 사회운동으로 확대 방침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지난 4월 경기도 문화의전당에서 열린 '경기도, 공공기관-사회적기업 결연식'에서 사회적 기업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에 있는 사회적 기업 '위캔'은 장애인들의 자활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회사다. 쿠키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 이 회사는 지난 2007년 정부로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고 매출액이 20% 이상 늘어나는 등 대표적인 성공기업으로 주목 받았다. 하지만 이 회사는 고용노동부의 인건비 지원기간(3년)이 끝난 지난해 말 전체 직원 69명(장애인 38명) 가운데 11명을 해고해야만 했다.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고용창출을 위해 만들어진 사회적 기업이 정부 지원정책의 한계로 장애인들을 해고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현재 경기도내에는 186개의 사회적 기업에 4,700여명이 종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월 매출 500만 원 이하인 기업이 전체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생존을 위협받고 있는 기업들이 많다. 경기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 들어 31개 시·군 부단체장 등과 8차례에 걸쳐 '일자리창출 전략회의'를 열어 '경기도형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을 마련했다. 도는 정부가 주도하는 영국형 사회적 기업처럼 초기에는 재정지원 후 자립을 유도하고 후기에는 미국형 사회적 기업처럼 민간의 자발적 회원 및 기부금 제도에 기초한 사회운동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경기도형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은 도의 주도로 사회적 기업의 재정ㆍ판로 등을 지원해 자립을 돕고 2단계로 민간이 주도해 기부금 등으로 운영하는 기업으로 전환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도는 이를 위해 도청 내 26개 실ㆍ국과 25개 산하 공공기관이 사회적 기업과 자매결연을 맺도록 했다. 또 1개 민간기업이 1개 사회적 기업과 자매결연을 맺어 기술, 자금, 판로 등을 지원하도록 유도하고 전문가 집단이 사회적 기업에 전문성을 기부하는 운동도 병행하기로 했다. 또 각 시ㆍ군별로 지역특성에 기반한 '1시군 1사회적 기업' 육성사업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도가 재정을 지원하고 시·군은 주민과 협력해 지역 특산물 판매 및 관광자원 개발, 지역문제해결 등에 기여할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김희연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체계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은 지속적인 현금지원보다는 자립ㆍ자활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며 자활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을 통해 취약계층 고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