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자실 폐지' 초당적 저지 움직임

한나라, 기자실제공등 보장법안제출 방침에<br>우리당도 긍정적… 6월국회서 처리 가능성

시민단체인 뉴라이트청년연합 회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후문에서 정부에 기자실 통폐합 방안 철회와 언론탄압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류효진기자

정부의 기자실 폐쇄 조치에 대한 국회의 저지 공조 움직임이 법안 등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은 언론의 취재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법안 검토에 나서 6월 국회의 최대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문광위 차원에서 법안을 제출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총력 저지에 나섰다. 나경원 대변인은 24일 “정부 조치는 한반도 전체를 언론 자유의 동토의 왕국으로 꽁꽁 얼어붙게 하겠다는 극악한 발상”이라며 “언론자유 수호의 깃발을 내리지 않고 모든 양심세력과 힘을 합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문광위 소속 정병국 한나라당 의원은 공공기관 정보공개법 개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그는 “공공기관 내 언론사에 취재공간을 제공토록 하고 취재원에 대한 언론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25일께 국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도 법안에 대해 긍정적인 뜻을 보였다. 장영달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6월 국회에서 한나라당이 기자실 통폐합 관련 법안을 제출할 경우 얼마든지 협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보자는 판단을 한 것은 좋지만 준비 없이 갑자기 시행해 유감”이라고 했다. 최재성 대변인은 “이 제도에 반대 여론이 많은 만큼 대안이 나올 때까지 시행을 보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도신당도 언론의 취재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법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범여권의 친노 직계 의원들은 유보적인 입장이지만, 원내 교섭단체 3당의 주된 기류가 정부안에 반대하고 있고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등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어 법안이 제출될 경우 처리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함께 추진하는 국정홍보처 폐지안에는 범여권이 쉽게 동의하지 않고 있어 양측 조율이 필요할 전망이다. 홍보처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지난 2005년 발의돼 국회 행정자치위에 계류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