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로존, 10년내 무너질수도 있어"

앞으로 10년간 유로존(유로화 17개 통용국)이 지속할 가능성은 20%에 불과하다고 로이터 통신이 1일 영국 싱크탱크인 경제경영연구센터(CEBR)의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CEBR은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올 초 4,000억 유로의 채권을 상환을 앞두고 17개 유로화 사용국가 간에 현재의 재정위기가 유로존의 위기로 비화할 수 있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더글러스 맥윌리엄스 CEBR 최고경영자(CEO)는“ 유로화 통화권은 역내 회원국간의 극심한경제 불균형으로 지속 가능성은 앞으로 10년간 5분의 1 수준”이라며 “설령 유로화가 붕괴되지 않는다고 해도 상당히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미 구제금융을 받은 그리스와 아일랜드의 국가 부채 문제가 이미 유로존 안정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포르투갈 등 추가로 구제금융을 받는 일이 발생하면 유로존의 핵심국인 독일이 인내심을 잃고 유로존의 붕괴를 촉발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런 극단적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지만 독일이 탈퇴하거나 일부 재정 취약국이 유로존에서 빠져나 올 수 있다는 관측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제기되고 있다. 맥윌리엄스 CEO는 “유럽 정치인들이 위기에 정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겠지만 유로화는 그 시점에 무너질 수도 있을 것”"이라며 “유로존 내 강대국과 약소국 사이의 불균형이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더욱 심화해 장기적으로는 통화권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날 신년 메시지에서 “유로화는 번영의 기초이며 독일에는 유럽과 단일 통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