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위성DMB사업 활성화 '먹구름'

정통부, 이통사 단말기 보조금 지급 불허방침

위성DMB 서비스업체인 TU미디어가 단말기 보조금 지급 문제로 가슴앓이를 하고 있다. TU미디어의 이 같은 고민은 25일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성DMB는 기본적으로 방송 영역이므로 서비스 업체인 TU미디어가 보조금을 지급해야 하지만 자금여력이 없을 것”이라는 취지의 언급을 하면서 수면위로 떠올랐다.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지급 가능성을 사실상 배제한 진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이통사들의 자금력에 기대어 초기 서비스 활성화를 기대했던 TU미디어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이와 관련 TU미디어 관계자는 “정통부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보조금을 허용할 것으로 기대했었는데 이 같은 입장은 위성DMB 휴대폰의 보조금을 사실상 불허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성DMB 휴대폰으로 방송 시청만 하는 게 아니라 전화 통화도 하는 만큼 이동통신 업체들이 보조금을 부담하는 것은 당연하다”며“또 서비스요금의 25%를 이동통신 업체들에 지급하는 것을 감안해 이통사가 보조금 지급에 협조할 것으로 기대했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당 85만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 단말기 가격중 10만원씩만 보조금을 지급해도 100만대를 판매하면 1,000억원이 필요하다”며“현재 TU미디어의 형편상 이 같은 자금을 동원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동통신 업체들도 위성DMB휴대폰 보조금 지급에 부정적이긴 마찬가지. 이동통신 업체들은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라고 등을 떠다밀어도 대당 월 3,250원을 받는 상황에서는 여력이 없다”는 입장. 다시 말해 서비스 주체인 TU미디어가 안나서는 마당에 이동통신 업체들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나설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위성DMB사업의 활성화가 다소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TU미디어 관계자는 “위성DMB는 무료 서비스인 지상파DMB 서비스가 시작되기전에 한 명이라도 가입자를 더 확보해야 한다”며“위성DMB서비스가 IT839전략의 일부인 만큼 정통부나 이통사들이 보조금 문제를 전향적으로 생각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