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협 "환율급락으로 수출기업 70%이상 출혈"

환율의 급락으로 수출기업의 70-90%가 이미 출혈수출을 하고 있거나 이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업종별 대표 수출기업 39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1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출기업들은 손익분기점 환율이 평균 1천127원이라고 답했다. 이때문에 현재의 환율수준(1천100원대)에서 수출 기업의 70-90%가 이미 출혈수출을 하고 있거나 이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 수출기업들의 73.2%는 최근 환율의 급락으로 이미 계약한 수출분이적자에 직면했거나 적자로 전환됐다고 답했다. 또 수출기업의 70%는 채산성이 맞지 않아 신규 주문 받는 것을 꺼리고 있으며 10.2%는 수출물량의 일부를 내수로 전환하는 것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수출기업의 7.5%는 이미 계약을 체결한 수출분을 취소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수출기업의 53.4%는 환율급락으로 인해 주요경쟁국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크게약화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4.2%만이 가격경쟁에 별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환율하락이 수출둔화로 나타나는 시차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라는 응답이 82.4%를 차지해 수출둔화가 조만간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환율 10% 하락시 `내년수출이 6%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약 60%를차지해 최근 환율급락이 내년도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도 사업계획 환율에 대해 1천110원대 이상이라는 응답이 69.6%로 나타나 최근 환율수준을 감안하면 10개사중 7개사는 내년도 사업계획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보인다. 환율 10%하락시 수출가격을 `인상할 수 없다'거나 `2%이내 인상가능'하다는 응답이 58.7%를 차지해 환율하락시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함을 드러냈다. 정부의 환율운용에 대해 `적극 방어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70.5%로 나타나최근 환율급락에 대한 기업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수출기업들은 적정환율이 평균 1천174원이라고 대답했다. (서울=연합뉴스) 현경숙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