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차입금의존도 사상 최저 "외부자금 안쓴다"

작년 25.7%‥외환위기 이후 6년 연속 감소투자 기피, 재무 안정성 치중 탓

기업의 총자산에서 외부자금의 비중을 나타내는차입금 의존도가 외환위기 이후 6년 연속 감소, 작년에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차입금 의존도의 감소는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건실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일본 등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여서 국내기업들이 재무 안정성에치중한 나머지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0일 산업은행이 연간 매출액 10억원 이상의 국내 제조업체 2천52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이들 기업의 총자산은 585조5천억원이었고 차입금은150조4천억원으로 차입금 의존도(차입금/총자산×100)는 25.7%였다. 이는 산업은행이 제조업체의 차입금 의존도 조사를 시작한 지난 197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일본의 30.8%(2002년)보다 훨씬 낮고 직접금융시장이 우리보다 훨씬발달한 미국의 25.4%(2003년)와 비슷한 수준이다. 제조업체의 차입금 의존도는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에 54.8%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1998년 50.1%, 1999년 38.3%, 2000년 36.9%, 2001년 34.4%, 2002년 28.9%에 이어 작년까지 6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제조업체의 차입금 규모는 1997년 317조원에서 1998년 313조2천억원, 1999년 234조9천억원, 2000년 209조원, 2001년 187조4천억원, 2002년 157조7천억원, 2003년 150조4천억원 등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총자산은 1997년 578조4천억원에서 1998년 625조1천억원으로 늘어난 이후 1999년 613조5천억원, 2000년 566조5천억원, 2001년 544조6천억원으로 줄어들다 2002년(545조7천억원)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산업은행은 기업들이 외환위기 이후 재무 안정성에 치중, 현금성 자산을 늘리고투자를 꺼리고 있어 차입금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수희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센터소장은 "전통적으로 기업은 빚을 얻어 투자를 하고 고용창출과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경제주체"라며 "기업의 지나친 차입금 의존도 감소는 기업의 재무 안정성 호조보다는 경제 성장의 선순환 구조가 끊어지고있다는 측면이 강하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