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재식의 스마트 골프] <18> 중거리 벙커 샷

발 약간만 묻고 상체 세운 채 어드레스…볼은 가운데나 오른쪽에 <br>임팩트 순간 몸이 목표 방향으로 나가는 느낌도 도움돼

발을 깊이 묻지 말고 몸을 조금 세운다. 볼은 스탠스 중앙이나 약간 우측에 둔다.

임팩트 순간 몸이 목표 방향으로 나간다는 느낌으로 때리면 뒤 땅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린 주변 벙커 샷 중에서도 40~50야드 거리는 무척 어렵습니다. 짧으면 벙커를 빠져 나오지 못하고 너무 강하게 치면 그린을 훌쩍 넘기는 ‘홈런’이 나올 것 같은 불안감이 들죠. 프로골퍼들도 이 거리가 쉽지만은 않답니다. 중거리 벙커 샷을 홀 가까이 붙이기 위해서는 그린 주변 벙커 샷과의 몇 가지 차이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린 주변 벙커에서는 볼 뒤쪽 모래부터 맞히지만 중거리라면 볼만 깨끗이 때려야 하지요. 볼과 페이스 사이에 모래가 끼지 않아야 거리 컨트롤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드레스 자세도 조금 다릅니다. 그린 주변 벙커와 달리 발을 깊게 묻으면 안 됩니다. 상체는 조금 세우고 볼은 스탠스 중앙이나 약간 우측에 두도록 하세요. 페이스는 열지 말고 직각 상태로 유지합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모래보다 볼을 먼저 때리기 위한 장치입니다. 가장 큰 실수는 임팩트 순간 나옵니다. 상체가 뒤로 젖혀지거나 몸이 상하로 흔들리는 것이지요. 볼을 높이 띄운다거나 멀리 보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비롯되는 듯합니다. 이런 동작은 오히려 뒤 땅이나 토핑을 유발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이제부터는 임팩트 순간 몸이 목표 방향으로 나간다는 느낌으로 때려 보십시오. 훨씬 임팩트 감이 좋을 겁니다. 스윙축이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볼부터 맞히는 게 쉬워집니다. 스윙궤도는 바깥에서 안으로 잘라치는 게 아니라 일반적인 스윙처럼 인사이드-아웃으로 합니다. 거리 조절은 폴로스루 크기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 스윙 크기에 따른 거리감을 익혀둘 필요가 있겠죠. 자신만의 ‘기준 거리’를 가지고 있으면 도움이 된답니다. 예를 들어 40야드에 대한 스윙 크기를 확실히 파악하고 있다면 30야드나 50야드도 문제가 없겠지요. 벙커에 들어가기 전 연습스윙을 할 때도 무조건 휘두를 게 아니라 스윙 크기를 염두에 두세요. 근육에 기억된 크기의 동작이 실제 샷을 할 때 똑같이 재연되기 때문입니다. 샌드웨지를 사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중거리 벙커 샷을 할 때는 샌드웨지(보통 56도)보다는 로프트 각도가 작은 52도 웨지가 더 편안할 겁니다. 거리는 넉넉하게 잡아서 한 번만에 탈출하도록 합니다. 또 방향의 오차도 감안해 홀을 직접 겨냥하기보다는 그린의 넓은 구역을 향해 치는 편이 안전하겠지요. 벙커 샷은 트러블 샷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좋지 않은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홀 가까이 붙이려고 욕심을 부리면 또 한번 벙커나 러프에서 트러블 샷을 해야 하는 일이 벌어지기 십상입니다. 아마추어에게 트러블 샷의 제1 목표는 파 세이브가 아니라 탈출, 오로지 탈출입니다. /미국 PGA 클래스A 멤버ㆍ화성골프아카데미 헤드프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