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우물안 기득권 해악과 한계 보여준 소치 올림픽

소치올림픽에 참가한 한국선수단의 실적이 부진하다. 목표했던 3회 연속 10위권 유지는 물론 아시아 1위에 빨간불이 켜졌다. 주력 종목인 빙상에서 성적이 부진한 탓이다. 물론 결과에 일희일비할 일은 아니다. 승패보다 과정과 정정당당한 승부가 스포츠의 본질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번 소치올림픽의 결과는 아쉬움을 갖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고질적 병폐인 파벌에 밀려 한국대표팀에서 배척 받은 안현수 선수가 러시아에 귀화해 뛰어난 성적을 거둔 게 대견하면서도 아프다. 비단 금메달 하나가 아쉬워서가 아니다. 국적을 바꿔서라도 공정한 평가를 받고 싶었던 선수가 한 사람뿐이었겠는가. 유도의 추신수도 파벌의 벽에 국적을 버렸다.

관련기사



주지하듯이 스포츠는 어떤 분야보다도 객관적이고 공정함이 담보될 수 있는 분야다. 기록이 매겨지고 수많은 관중이 지켜보기에 승부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기가 어려운 스포츠마저 파벌이 지배하는 판국에 한국 사회의 다른 분야는 온전한가. 지난해 여름 내내 온 국민을 전력수급 비상에 떨게 만들었던 원자력전력 마피아를 비롯해 사회 각 분야에서 한 줌의 온당치 못한 기득권이 국가경제와 국민행복을 좀먹고 있다. 소치의 부진을 야기한 빙상경기연맹의 파벌 난맥상은 우리 사회의 단면일 뿐이다.

안 선수가 역경을 딛고 거둔 인간 승리는 분명 박수 받아 마땅하다. 축하를 보내면서 이제는 우리 내부를 다스릴 때다. 외국언론이 어떤 보도를 했는지 생각해보라. 로이터통신은 '한국 쇼트트랙에 금이 없어 안 선수의 승리가 더욱 값지다'라고 타전했다. 미국의 한 언론은 '마이클 조던이 쿠바를 위해 뛴 꼴'이라고 비아냥거렸다. 우리가 파벌주의를 극복하지 못하는 한 외신의 조롱도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소치에서도 결실은 있다. 넘어지고 또 넘어지면서도 끝까지 달린 박승희 선수의 동메달은 금메달보다 값지다. 스포츠는 감동이다. 소치의 부진은 약이 될 수 있다. 우물 안 기득권을 극복하는 데 스포츠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의 미래가 걸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