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허청, 세계 최초 특허 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내년 시범 서비스 제공

특허청은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대비해 세계 최초의 특허 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나고야 의정서는 다른 나라의 생물자원을 이용할 경우 경제적 보상을 의무화한 국제조약으로서 지난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타결돼 발효를 앞두고 있다. 의정서가 발효되면 생물자원을 보유한 국가로부터 취득 및 사용에 대한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고, 그 생물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익을 상호합의한 조건에 따라 분배해야 한다.

특허청은 지난 3월부터 생물자원 특허정보 분석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시작해 최근 특허 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 자료 구축을 완료했다.


특허청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는 최근 2년반 동안 공개된 특허 중 식물, 미생물, 동물, 바이러스, 곤충 등 생명자원에 관한 7,973건의 특허를 추리고 그 내용을 분석, 가공한 것이다.

관련기사



이번 데이터베이스는 생물자원의 구체적인 종류와 이들의 용도, 입수경로, 관련 특허 내용 등이 포함돼 있고 생물자원의 원산지도 파악해 수록했다.

분석결과 특허 생물자원의 80%가 의약품, 식품,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물자원은 식물(69%)과 미생물(24%)이며 동물, 바이러스, 곤충 등의 경우는 활용건수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생물자원을 이용한 특허 중 외국인에 의한 특허는 821건으로서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특허청은 각종 분석 결과를 포함한 이번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작업을 거쳐 내년 초에 시범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