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가 19일 내놓은 '연령별 소비구조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30대와 40대 가구주의 적자가구 비중은 지난해 각각 21.8%, 28.6%로 10년 전보다 9.8%포인트, 10.5%포인트 늘었다. 적자가구 비중이 30∼35%대에 머무른 60세 이상 가구주와 대조를 보였다.
적자가구의 비중이 늘어난 것은 소비증가율이 소득증가율을 뛰어 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체가계의 실질처분가능소득증가율은 지난 1991∼1995년 사이 4.1%였으나 2006∼2011년에는 1.1%로 3.0%포인트나 줄었다. 민간소비증가율도 2009년 3ㆍ4분기 이후 12분기 연속으로 국내총생산(GDP)증가율을 밑돌고 있다.
보고서는 "고령 가계는 소득증가세 둔화에 따라 소비지출도 적극적으로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30~40대 가계는 소비증가율이 소득증가율을 웃도는 현상이 장기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민간소비 부진이 장기화한 가운데 인구구조 고령화 진전으로 향후 소비부진이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가계소비에서 필수적인 식료품ㆍ비주류음료의 비중은 1990년 26.3%에서 2011년 13.4%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교통·통신·교육비처럼 선택적 소비비중은 같은 기간 1.5~4배 정도 늘었다. 연령대별로 선택적 소비품목을 살펴보면 60세 이상 가구는 보건 관련 지출이 8.6%(1990년)에서 11.7%(2000년)로 비중이 높아진 반면 40대는 교육비 비중이 12.8%에서 20.7%로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