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2월 18일] GTX,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을 서울 중심 30분 생활권, 전 지역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어주는 신개념 철도교통이다. 지하공간을 활용한 노선 직선화와 간선운행으로 주요 거점구간을 평균 100㎞/h의 고속으로 연결함은 물론 수도권 전역에 걸쳐 도로ㆍ철도, 간선ㆍ지선이 균형을 이루는 대중교통망을 형성한다. 수도권 교통혁명으로 일컬어지는 GTX는 현재 고양 킨텍스와 동탄 신도시를 연결하는 74.8㎞, 인천 송도와 서울 청량리를 연결하는 49.9㎞, 의정부와 군포 금정을 연결하는 49.3㎞의 총연장 145.5㎞ 3개 노선이 국토해양부에 제안된 상태이다. 경기도가 제안한 GTX가 완성된다면 동탄에서 서울까지 기존 66분에서 18분으로 삼성에서 일산까지 83분에서 22분 등으로 통행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GTX는 대중교통의 중심축으로서 장래 수도권 통행 패턴과 도시공간 구조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우선 철도의 고속수송 및 효과적인 연계망 확충으로 도로에 편중되던 광역통행이 대중교통으로 전환돼 도로 혼잡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도로교통의 통행시간을 단축시키며 전 교통수단에 대한 선택 폭이 넓어지는 계기가 된다. 게다가 외곽 지역의 도심 접근성이 높아져 실질적으로 경제권이 확대되고 도시 기능이 분산돼 수도권 전체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교통의 결절점인 역세권이 정보ㆍ문화ㆍ상업ㆍ교육 등 도시생활의 중심지로 육성돼 이를 중심으로 자족기능 확보 및 생활권 확대로 다핵거점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교통 분야 온실가스 감축, 삶의 질과 교통환경 개선을 위해 도로교통을 대중교통 중심의 친환경 녹색교통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필수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GTX의 의미는 매우 크다. 탄소배출량이 6배나 많은 자동차 대신 철도 통행을 활성화시켜 생활 속에서 쉽게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이는 녹색교통뿐만 아니라 유동인구 증가로 거리와 주변상권의 활력을 높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진정한 의미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GTX의 효과는 수도권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GTX는 KTX의 서비스 면적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연계교통망으로서 효과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그에서 발생한 시간적ㆍ정신적 여유는 여가활동 및 자기계발 등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해 전국적인 교통혁명ㆍ생활혁명ㆍ문화혁명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다. 지하 대심도로 운행되는 GTX는 사고예방, 조기감지, 환기방재 대책 등에 최신기술을 도입해 안전성 확보에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일본 지하철, 영국ㆍ프랑스의 유로터널, 모스크바 지하철 등 지하 대심도로 구축, 운영되는 선진국 사례가 안정성을 증명한다. 더구나 세계는 지금 메가시티리전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고속철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도 하루속히 GTX 중심의 수도권 녹색교통체계를 축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시대로 진입해야 한다. 물론 교통 인프라는 국가백년지대계로 한번 구축되면 되돌리기 어렵다. 체계적인 선교통 후도시계획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수도권 대규모 도시개발이 이뤄지는 현 시점에서 GTX와 같은 교통체계의 큰 틀은 하루속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GTX는 수도권 교통난 해결은 물론 저탄소 녹색성장에 부합하는 친환경사업이다. GTX 동시착공을 시작으로 수도권 녹색교통체계 구축과 역세권 특성화 다핵거점개발 등이 체계적으로 준비, 진행돼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