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의 외화 자금난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다. 최근 은행권이 잇달아 신규 외화차입에 성공하거나 해외 채권발행을 계획하고 있고 지난달 만기가 돌아온 대외채무도 정부의 지원 없이 전액 차환했기 때문이다.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선데다 정부도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을 발행할 예정이어서 은행들의 외화조달은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외화조달 탄력=7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의 4~5월 중 외화차입 금액은 2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월 이후 다시 심각해졌던 은행 외화조달 문제가 점차 풀리고 있는 것이다. 은행들은 지난해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외화자금난에 시달려왔고 올 들어서도 동유럽 금융위기로 서유럽 금융기관들의 대출회수 우려가 계속돼왔다. 우리은행은 2월 외화 후순위채 4억달러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았다가 후폭풍을 맞기도 했다. 현재 신한은행은 만기 1년 이상으로 3억달러 상당의 외화차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은행도 5억~10억달러 규모의 해외채권 발행을 이달 중 매듭지을 계획이다. 농협과 외환은행은 각각 4월과 5월 중 1억달러를 차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주 정부의 지급보증을 받아 3년 만기 10억달러의 글로벌채권을 발행했고 우리은행은 6일 정부의 지급보증 없이 사모형태로 3억달러를 빌렸다.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도 여건을 봐가며 외화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정부도 이달 중 20억달러 안팎의 외평채를 발행하는 것을 두고 시장여건을 탐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낮은 금리로 외화를 차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배민근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외채 만기가 1ㆍ4분기와 3ㆍ4분기에 집중된 상황에서 1ㆍ4분기에는 동유럽 금융위기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상황이 악화됐다"며 "외화조달 여건이 어느 정도 호전됐기 때문에 은행의 수익성 문제를 생각해 조달비용을 낮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화 유동성 지표도 개선=은행들의 잇단 외화차입에 힘입어 외화유동성 여건을 나타내는 지표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회사와 기업의 차환율은 지난해 10월 54.5%였다가 ▦올 1월 87.1% ▦2월 91.6% ▦3월 106.3%까지 상승했다. 차환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기존 대출의 만기를 전액 연장하고도 외화가 남았다는 뜻이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한국물 채권 신용도도 높아지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한국물 채권의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은 3일 현재 2.95%로 한 달 전의 4.65%에 비해 1.7%포인트 하락했다. CDS 프리미엄은 금융사의 부도를 대비한 일종의 보험료로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해당 금융기관의 부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외화조달에 숨통이 트이면서 관련 지표와 CDS 프리미엄도 개선되고 있다"며 "다만 아직 단기외채의 비율이 높고 증시에서 외국인의 추가 이탈이 있을 수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