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 증권사 M&A, 능사 아니다

증권업계에 인수합병(M&A) 바람이 거세다. 일부 증권사의 ‘새주인 찾기’는 매년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올해는 특히 자본시장통합법의 국회통과로 M&A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본시장통합법 도입이후 금융영역의 장벽이 허물어지면 살아남기 위해 몸집을 키워야 하고 이를 위해 증권사 M&A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M&A가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실제 은행권 등이 증권업 진출을 위해 M&A를 진행하거나 ‘먹잇감’ 물망에 오른 증권사만 10여곳에 달한다. 또 증권사마다 앞다퉈 ‘M&A 추진’을 선언하고 있는 가운데 대형증권사를 포함해 국내 모든 증권사가 M&A 표적이라는 말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하지만 대형화에 대한 요구만큼 가까운 시일내 실제 M&A가 본격화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이 많다. 인수대상 가능성이 높은 중소형증권사 상당수는 대주주 지분이 높은데다 최근 우호세력과 주식교환을 통해 적대적 M&A에 대한 방어책까지 세우고 있다. 주식시장의 호황으로 잘 되는 장사를 굳이 포기하고 매물로 내놓을리도 만무하다. 금융 감독당국이 인수대상 증권사의 몸값을 낮추기 위해 증권업 신규허용 검토를 밝혔지만 이 또한 진입장벽을 낮출 경우 업계내 과당경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 실현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증권업면허만 가지고 수수료경쟁을 촉발시키는 등 문제를 일으켜온 일부 중소형사에 대해 감독당국의 시선이 곱지 않은 판에 섣불리 ‘함량미달’ 증권사를 양산하는데 앞장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증권업계는 M&A를 할 수 있다면 주식위탁매매(브로커리지) 수수료위주의 수익구조 문제를 해결하고 대형화로 가는 길을 앞당길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증권사 스스로 대형금융투자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체질개선에 진력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금융감독원의 조사결과를 보면 자산규모 5조원 이상인 6개 대형증권사의 수수료수익 중 브로커리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61%를 웃돌았다. 2년 전에도 60%였다. 미국 증권사 평균치인 11%의 5배를 웃도는 수치다. 글로벌 공룡금융그룹으로 성장한 골드만삭스도 주식거래에만 치중하던 지난 1920년대 말 대공황으로 주가가 폭락하자 기업 존폐의 위기를 겪었다. 현재의 글로벌 플레이어로 거듭나는 데는 투자은행(IB)및 직접투자ㆍ파생상품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수익기반을 다지는 노력이 있었다. 투자은행부문의 경쟁력을 높이고 탄탄한 수익구조 기반을 다져 놓아야 M&A를 통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입맛에 맞는 먹잇감이 나타나기를 마냥 기다리기에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