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사 탐방] 도이치모터스 "한·EU FTA 발판 年매출 1조 도전"

한ㆍEU FTA 및 폐차 사업 신규 진출 등 대내외 호재 만발



“한ㆍEU 자유무역협정(FTA) 효과와 더불어 연내 폐차 사업 신규 진출 등을 기반으로 2015년까지 매출 1조원 시대를 열겠습니다.” 외제차 전시장이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 서울 답십리. BMW 딜링 업체 도이치모터스의 권오수 사장이 지난 2002년 강원도 원주에서 딜러 업무를 시작해 그 해 350대라는 기록적인 판매고를 올린 뒤 바로 서울로 입성, 첫 터를 잡은 곳이 답십리다. 당시 서울의 목 좋은 곳은 이미 다른 딜러들이 선점해 있던 상황. 권 사장은 이 곳을 기반으로 매년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갔고, 회사를 창립 8년여만에 양재ㆍ송파ㆍ강남ㆍ분당 등 전국 15개 지역에 BMWㆍMINI 전시장과 서비스 센터의 문을 열었다. 2일 답십리 본사에서 만난 권 사장은 “올해 2,500억원 규모인 매출액을 2015년에는 1조원으로 늘려나갈 것”이라며 “그 이후에는 시가총액 1조원 규모의 회사로 키워나가는 게 목표”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그가 매출 1조원ㆍ시총 1조원을 자신하는 데는 대외ㆍ대내적 호재가 동시에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한ㆍEU FTA 타결에 따른 외제차 시장 확대로 최소 두 배 이상의 매출 증가가 있을 것으로 권 사장은 내다보고 있다. 권 사장은 “현재 7%에 머물고 있는 국내 시장에서의 외제차 점유율은 한ㆍEU FTA 체결에 따른 가격 인하 효과로 앞으로 25%까지 늘어날 것”이라며 “중소형 저가 시장 확대를 감안한 보수적 관점으로 접근해도 매출액은 현재의 2배 이상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에 연내 신규 런칭이 예정돼 있는 폐차 사업은 도이치모터스의 신규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폐차에서 나온 고철ㆍ부품들을 애프터서비스(AS)에 활용하거나 고철 업체 등에 판매해 수익을 얻는 사업으로 도이치모터스는 글로벌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올해 내 국내에 첫 선을 보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전문화된 자동차 폐품 시장이 존재치 않아 사실상 도이치모터스가 첫 진출 사례로 남을 전망이다. 권 사장은 “이미 2000년대 중반 전문화되기 시작한 선진국 시장과는 달리 현재 국내 폐품 시장은 1,700여개 정도의 업체 중 두 군데 정도만 흑자를 낼 정도로 영세한 상황”이라며 “100여개 나라에 있는 10만 바이어를 활용해 폐품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원상필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에서도 그린산업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자동차부품재활용 관련법이 입안돼 있어 폐품 사업 신규 런칭에 따른 주가 기대감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