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생생 재테크] 상가 투자에 대처하는 자세

유동인구·발전 가능성 예측하는 안목 필요<br>정보 구하기 쉽지 않아 발품 많이 팔아야

김연화 기업은행 PB고객부 차장

상가는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양도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나무랄 데 없는 대표적인 수익형 부동산이다. 그래서 그런지 부동산 거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상가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은 변함이 없어 보인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주된 이유는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중장년층의 폭넓은 관심 때문이라고 풀이된다. 또한 주거용 부동산의 투자수익률이 과거보다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점도 한몫을 한다. 상가와 같은 수익형 부동산 투자에 실패하지 않기 위해 알아둬야 할 몇가지 유의사항을 살펴보도록 하자. 상가의 투자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는 바로 수익률이다. 통상 상가는 장사를 하기 위한 곳이므로 장사가 잘 될만한 곳(위치)이 상가로서의 가치(임대료)를 높여준다. 따라서 전체 상권의 흡인력(유동 인구)과 향후 발전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이 요구된다. 특히 과열 분위기에 휩쓸려 환금성과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신중히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아무리 상가 여건이 좋다고 하더라도 적정한 가격에 구입해야 하며 현금이 필요할 때 유동화할 수 있고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의 경우 좋은 조건의 매물을 찾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일반 아파트처럼 정보습득이 쉽지 않은 데다 구매자들의 '발품' 역시 아파트 매입보다 더 많이 요구된다. 또한 유동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이들 연령층은 어떻게 되는지 등 임차인의 시각에서 어떤 업종이 유리한지 등을 파악해야 한다. 수익형 부동산은 일반경기 상황과 입지, 업종 등 개별적 조건에 따라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보다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왕이면 모르는 곳보다는 잘 아는 지역을 선택하고 상가 투자의 장점과 단점, 기회요인과 위험요인 등 SWOT분석을 해보는 것도 좋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