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선기자 '취재선진화 방안' 거부 움직임 확산

각 부처 출입기자단 통합송고실 입주 거부

일선기자 '취재선진화 방안' 거부 움직임 확산 각 부처 출입기자단 통합송고실 입주 거부 안길수 기자 coolass@sed.co.kr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해 대부분의 일선 기자들이 거부 움직임을 보이며 반대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각 부처 출입 기자단은 정부의 이번 방안을 사실상 '취재 봉쇄'로 규정, 새로 운영되는 통합 송고실에 입주하기를 거부해 파행 운영될 조짐이다. 27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외교부ㆍ재정경제부ㆍ과학기술부ㆍ경찰청 등의 10여곳의 출입기자단은 최근 정부의 취재 제한 조치에 반발, 이른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거부하겠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또한 국무총리실ㆍ통일부ㆍ행정자치부 등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출입 기자단 역시 오는 29일께 이와 관련된 공동성명을 발표할 방침이다. 총리실ㆍ통일부 등의 출입기자단은 지난 23~24일 회의를 열고 선진화 방안이 기자들의 취재원 접근을 심각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앞서 교육부를 출입하는 31개 언론사 기자들은 성명서에서 '자유로운 취재가 막힌다면 결국 수험생과 학부모만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 세종로 정사 출입기자단 중에서 가장 강하게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는 곳은 외교부 출입 기자단. 외교부 출입 기자단은 이날 국정홍보처가 마련한 총리 훈령인 '취재 지원에 관한 기준(안)'의 문안이 확정된 뒤 취재 접근권 보장 방안에 대한 정부 당국과의 논의를 재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새로 완성한 통합 브리핑실과 기사 송고실을 당분간 이용하지 않기로 했다. 외교부 출입기자들은 취재접근권을 현 수준으로 보장해달라는 요구를 굽히지 않고 있으며 ▦정부가 자율 취재를 보장할 것 ▦기자들의 요청이 있을 때 온ㆍ백그라운드 브리핑을 수시로 개최할 것 등을 담은 공식 문서를 외교부와 국정홍보처에 전달했다. 또한 반대 입장을 밝힌 각 부처 출입기자단은 공무원 대면접촉 제한을 철회하고 공보팀을 통하지 않는 전화취재를 보장하라는 내용 등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주장하고 있다. 과천 청사의 경우 기자들의 거부 움직임으로 인해 새로 만들어진 통합 송고실과 통합 브리핑실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보처는 당초 27일부터 재경부ㆍ산업부ㆍ건교부ㆍ복지부 등 부처 출입기자들을 1동에 마련된 통합 송고실로 이동시켜 운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기자들의 반발이 확산되면서 좌석 절반 이상이 빈 상태로 첫날부터 파행을 겪었다. 건교부ㆍ복지부 기자단은 이미 새 기사 송고실로의 이전을 거부하며 선진화 방안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산자부와 건교부 출입기자단은 27~28일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과천 청사의 일부 부처는 출입기자단이 새로 완성된 통합 브리핑실에 방문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 국장급 이상 간부들을 서울시내로 직접 내보내 브리핑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모 부처의 경우 장관이 직접 "기자들이 방문하지 않더라도 기자들을 찾아서 현안을 설명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력시간 : 2007/08/27 18:2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