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사업도 못믿어" 실사 움직임… 결국 시간벌기용 워크아웃 유력

■ 채권단, 쌍용건설 구조조정 추진<br>"추가 지원해도 회생 불투명" … 출자전환 운명 채권단 고민<br>갓 출범한 새 정부에 부담… 법정관리는 사실상 배제

쌍용건설 채권단이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나 최소한 대대적인 실사와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추가 지원을 하더라도 회생이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는 탓이다. 채권단 측에서 "자산관리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기간 동안 사업구조가 망가졌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채권단은 25일에도 실무자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상당수 채권단은 정치논리만 개입하지 않는다면 법정관리도 밀어붙일 태세지만 새 정권이 막 들어선 상황에서 부담이 커 '시간벌기용' 워크아웃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채권단 해외사업 못 믿어=쌍용건설 측은 해외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만 약 19조원에 달한다고 강조한다.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과 마리나 해안고속도로 등 세계적인 건설사업도 맡았고 최근 3년간 해외에서 1,843억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등 해외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쌍용건설의 주장이다.


채권단의 시각은 다르다. 실제 구조가 어떤지 알 수 없다는 얘기다. 옛 대우그룹의 트라우마를 안고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라크 등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사업도 줄줄이 적자인데 쌍용이라고 다를 게 뭐가 있느냐"며 "자꾸 해외사업을 얘기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해외사업의 실체와 전망을 제대로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자산관리공사가 사후 실사를 했다고 하는데 조사내용을 믿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우리은행의 고위관계자는 "해외사업이 적자 나는 수준은 아닌 것 같다"면서도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해외에 나가서 덤핑해 이익이 많이 줄었다"고 했다.

관련기사



출자전환과 감자에 추가 자금지원까지 해야 하는 채권단 입장에서는 주판알을 튕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선 실사 후 대책마련' 요구나 워크아웃을 전후해 대대적인 해외사업 실사와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간벌기용 워크아웃 가나=채권단은 기업회생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적당한 선에서 시간벌기용 워크아웃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쌍용건설의 상황을 보면 워크아웃을 졸업해 다시 기업이 정상화하는 쪽으로는 자금지원이 많이 필요해 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매각과 워크아웃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 게 지금 상황에서는 가장 현실적이라는 말이다.

기업회생으로의 직행은 새 정부 입장에서도 부담이다. 자산관리공사의 관리를 받던 기업이 회생절차로 가면 책임공방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다 해외건설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철학과도 맞지 않는다. 기업회생시 1,400여개의 협력업체의 생존도 불투명해진다.

채권단은 대출을 출자전환해야 하지만 유상증자에 나서겠다는 확실한 전주만 생기면 추가 자금 지원부담을 덜 수 있다. 쌍용 측은 워크아웃만 시작되면 유상증자에 나설 곳은 많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의 고위관계자는 "나중에 기업회생으로 가더라도 일단은 워크아웃은 가야 할 것"이라며 "대대적인 실사작업으로 더 이상 살릴 수 없다고 하거나 워크아웃과 동시에 매각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