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행정도시 합의' 내홍

소도권의원 반발 무기 농성…중도세력 가세 움직임<br>朴대표 당혹감속 "수도 지켰다" 사태 조기수습 주력

24일 국회 한나라당 원내대표실에서 배일도(왼쪽부터)ㆍ이재오ㆍ박계동 의원이 수도 이전 반대를 내걸고 무기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종철기자

한나라당이 여야간에 합의한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둘러싸고 심각한 내홍에 휩싸였다. 특히 이명박 서울시장 등 차기 대권주자들의 입김까지 어우러져 당내 역학구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재오ㆍ김문수ㆍ홍준표ㆍ안상수 의원 등 수도권 의원들은 24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후속대책 합의에 반발하는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데 이어 중도성향의 푸른모임과 국민생각 소속 일부 의원들도 가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의원은 여야 합의에 대해 “120명 가까운 의원 가운데 겨우 80여명이 투표에 참가해 9표차로 합의안이 추인 됐다”며 “이는 당 전체의견을 대변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앞으로 본회의 등 여러 단계가 있으니 몸으로라도 막겠다”며 강경입장을 밝혔다. 이들 의원은 ‘신행정수도 특별법’이 본회의에 상정되는 다음달 2일까지 농성을 계속하는 한편 의총에 불참했던 의원들을 대상으로 후속대책 반대서명운동을 벌여 재협상을 요구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의회ㆍ수도이전반대국민연합 등 시민단체 등과도 연대해 범국민운동을 펼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당 지도부는 이 같은 반발 움직임에 당혹해 하면서 사태 조기 수습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부산을 방문중인 박근혜 대표는 이날 “(한나라당 소속) 121명의 의원 모두가 만족할 수 없다”면서 “처음 생각은 접고 다른 접근을 했다고 하더라도 중요한 것은 수도 하나만은 지켰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어 “착공시기 등의 문제는 앞으로 특별법안이 만들어지거나 하면 여야간 논의하고 정부가 할 일은 정부가 논의하면 될 것”이라며 “모든 것을 한꺼번에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국회에서 신행정수도특위 산하 지역균형발전대책소위 1차 회의를 열어 정부로부터 공공기관 이전 계획 등을 보고 받고 180여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대책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