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자금 증가율이 6년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가 절정에 이르고 있다. 반면 중장기자금 증가율은 13개월째 둔화돼 대조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6월 중 통화 및 유동성 지표 동향’에 따르면 단기자금 지표인 협의통화(M1)는 평잔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5% 증가한 362조1,000억원을 나타냈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3%를 기록했던 지난 2002년 8월 이후 최고치다.
민간이 보유한 현금과 은행 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금식예금(MMDA) 등으로 구성되는 M1은 올 3월 14.3%의 증가율을 기록한 후 4월 17.4%, 5월 17.0% 등 4개월째 10%대의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이처럼 M1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돈들이 시중에 넘쳐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 아래 특정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이 단기성 상품에 많이 몰리고 있다”며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 옮겨가기 위한 대기성 자금이 늘었다고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반기 정부의 재정지출이 급증하면서 결제성 예금이 증가한 점도 M1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5월 1조5,000억원 감소했던 요구불예금은 정부의 재정지출로 6월에는 9조6,000억원 급증했다.
한은의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의 재정지출 축소로 7월 M1 증가율은 다소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하지만 높은 증가세는 여전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M1에 2년 미만 예ㆍ적금이나 양도성예금증서(CD) 및 환매조건부채권(RP) 같은 시장형 금융상품, 머니마켓펀드(MMF) 등을 더해 중장기 유동성 지표로 활용되는 광의통화(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9.6%로 13개월째 하락했다. 또한 한은은 재정지출 축소에 따른 정부 부문의 통화 환수 영향으로 7월 M2 증가율이 전월보다 소폭 하락한 9%중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M2에 장기 저축성 예금 등을 더한 금융기관유동성(Lf) 증가율은 7.0%로 전월(7.3%)보다 낮아졌으며 Lf에 국채와 회사채 등을 더한 광의유동성(L)은 국공채 상환규모가 늘어나면서 9.9%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