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새만금 27일 준공] 토목건설史 새로 쓴 19년 大役事

세계 간척역사상 유래없는 난공사<br>돌망태 공법등 신기술로 완벽 시공<br>현장 방문한 해외전문가들도 탄성


새만금 사업은 19년이라는 공사기간 동안 우리나라 토목건설의 역사를 새로 쓰는 수많은 신기록을 수립했다. 우선 새만금 방조제는 길이가 세계에서 가장 긴 33.9㎞이며 평균 바닥 폭 290m(최대 535m), 평균 높이 36m(최대 54m)에 달한다. 방조제는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0.4%의 국토확장을 하는 한반도 지형 변화도 초래했다. 지난해까지 우리나라의 국토면적은 10만140㎢였으나 간척 이후 10만541㎢로 늘어났다. 4만100㏊의 바다는 내해로 바뀌었다. 이는 국제규격의 축구장 5만개가 한꺼번에 들어설 수 있을 만큼의 넓이이며 서울시 면적의 3분의2나 된다. 여의도 면적의 140배인 2만8,300㏊의 토지와 1만1,800ha의 담수호(총 저수량 5억3,400만톤, 유효 저수량 3억5,470만톤)도 조성된다. 방조제 축조에 사용된 재료는 주로 사업구역 내 토취장을 개발해 발생한 사석(돌) 및 바닷모래를 준설한 준설토가 이용됐다. 공사에 사용된 재료의 양은 경부고속도로 4차선(318㎞)을 13m 높이로 쌓을 수 있는 양인 사석 4,100만㎡, 바닷모래 8,200만㎡에 이른다. 공사에는 연인원 237만명이 투입됐고 덤프ㆍ준설선 등 91만대의 장비가 사용됐다. 더욱이 지난 2006년 3~4월 36일간 진행된 끝막이 공사는 세계 간척역사상 유래를 찾기 힘든 난공사였다. 박천규 농어촌공사 사업관리실장은 "새만금 방조제 총연장 33㎞ 중 끝막이 구간 2.7㎞(2호 방조제)는 최대 유속이 무려 7.1m/sec에 달해 마라톤 선수의 속도(5.4m/sec)보다 빠르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 공사는 조차가 가장 작은 시기를 이용해 준비단계, 끝막이 1ㆍ2단계, 최종 끝막이 단계로 구분해 시행됐다. 이 기간에 투입된 장비는 덤프 등 육상장비 2,336대, 바지선 등 해상장비 229대 등 총 2,575대나 된다. 특히 국내에 모두 20여대뿐인 35톤 이상 대형 덤프트럭 및 2,000톤급 해상 대형바지선을 투입해 최종 공사를 3일 앞당기기도 했다. 방조제 축조에 사용된 재료도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규격사석ㆍ돌망태 등 40만6,000㎥가 쓰였다. 1일 조석량은 소양댐 저수량의 2.5배에 해당하는 72억톤이며 끝막이 공사 구간 최대 수심은 54m다. 이 같은 난공사를 성공시킨 데는 우리의 앞선 기술력이 바탕이 됐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돌망태 공법. 2~3톤 규모의 돌망태와 두 개 이상 돌망태 묶음으로 만든 다양한 크기의 시공재료를 이용해 끝막이 구간을 시공했다. 돌망태는 일반사석보다 동일 유속에서 약 3배 이상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위성추적 시스템과 초음파유속기를 동원해 현장의 조위와 유속, 해저지형 등을 정기적으로 관측함으로써 철저한 시공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고 조위 및 조류속 예측 시스템(델프트3D)을 이용해 최적의 사석 및 돌망태 혼합률을 산정함으로써 완벽한 시공이 가능했다. 새만금 사업에는 해외 전문가들도 큰 관심을 보였다. 네덜란드 공공사업성간척전문가단이 한국을 방문해 참관했고 일본 농림수산성 직원은 끝막이 현장을 견학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인도의 정부 측 관계자도 새만금 현장을 방문한 뒤 한국의 기술력에 놀라며 자국사업을 추진할 때 적극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