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韓·中·日 바둑 영웅전] 꺼림칙한 뒷맛을 없애라

제7보(101~117)



흑1의 수비는 당연했다. 이 보강을 게을리하면 참고도1의 백1이 통렬하다. 흑2면 백3 이하 7로 큰 사고가 난다. 백이 귀에서 살고 나면 흑은 살길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흑이 1로 지키고 나니 백도 상변을 보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백2 이하 6으로 지킨 것은 어쩔 수 없다. 이 보강을 게을리하면 참고도2의 흑1 이하 5의 수단이 있는 것이다. 결국 백은 후수를 잡게 되었고 흑은 9로 지켜 위기에서 벗어났다. 실전의 수순 가운데 백6으로는 7의 자리에 두고 버틸 수도 있는데 야마다는 뒷맛이 나쁘다고 보고 실전의 백6으로 지켰다. "나이가 들면 꺼림칙한 뒷맛을 피하게 되지요."(윤현석) "흑이 9로 지키게 돼서는 흑이 유리한 바둑 같아. 백이 진작에 좀더 공격적으로 둘 필요가 있었던 것 같아."(필자) "맞는 말입니다. 야마다가 너무 신중을 기하다가 찬스를 놓친 인상입니다."(윤현석) "흑의 유리가 분명하지?"(필자) "그렇게 단언할 수는 없어요."(윤현석) 백도 10에 손이 돌아왔으므로 큰 불만은 없다고 한다. 원래 이 자리는 흑이 선수로 끊어잡을 수 있는 곳인데 백이 역으로 그곳을 두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자리를 백이 두게 되자 하변 쪽에 잡혀 있는 백돌 5점이 말을 하게 되었다. 백12 이하 16은 하변쪽 뒷맛을 살리겠다는 끈끈한 수순. 하지만 백12는 부분적으로 다소 악수였다. 흑에게 13,15의 수순을 허락하여 상변쪽 흑이 아주 두텁게 되었으니까. "집으로는 흑이 앞선게 확실합니다. 이제 흑은 좌변이나 하변에서 사고만 나지 않으면 됩니다."(원성진)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