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제자금 신흥시장 꺼린다

일부국가 자금난… IMF 긴급지원 검토미 9.11 테러사태 이후 국제 투자자들이 '안전'을 투자의 최우선 요건으로 내세움에 따라 국제 자금이 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전반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이 자금사정이 특히 안 좋아진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긴급 지원 검토에 나서는 등 미국 테러의 불똥이 신흥시장 각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미국ㆍ유럽ㆍ일본의 금융기관으로 구성되는 국제금융협회(IIF) 자료를 인용, 아시아와 중남미, 동유럽,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국가들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기채한 자금이 9월중 11억4,300만달러에 그쳐, 지난 8월의 52억8,800만달러보다 78%나 줄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금융위기로 시장 기능이 사실상 마비됐던 지난 98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그나마 이중 대부분은 테러 발생일인 9월11일 이전에 확보한 것으로, 테러 이후에는 이들 국가의 기채시장이 사실상 동결된 상태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이달 들어서도 칠레가 6억5,000만달러의 기채에 성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신흥국들이 철저히 외면되고 있다. 또 테러 직후 시장이 혼란에 빠진 와중에 선진 주식시장을 빠져나갔던 자금들이 미국이나 일본 등으로 속속 되돌아가 주가가 테러 이전 수준에 육박하고 있는 반면, 신흥국 증시는 여전히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IIF는 이처럼 신흥시장 외면이 계속될 경우, 직접투자와 증권투자 등을 포함한 신흥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액이 올해에는 전년대비 38% 줄어든 1,061억달러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국제자금이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자, IMF도 서둘러 자금지원을 검토하고 나섰다. 지금 사정이 심각한 것으로 우려되는 나라는 터키와 아르헨티나 등. 특히 얼마 전 IMF의 자금지원을 받은 터키는 테러 사태 이후 국내 경기가 급속도로 악화, IMF로부터 90억달러 정도의 추가 자금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신흥시장의 자금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자, 일본 정부는 아시아 각국과의 협조 체제하에 지역 내 단기적인 자금 흐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다. 재무성은 오는 2003년까지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증권투자에 대한 정보 공유 체제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우선 올해 안에 필리핀과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등에 대해 데이터 구축을 위한 시스템 개발과 인재양성 지원에 나설 예정이라고 이 신문은 24일 보도했다. 도쿄=신경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