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2월21일 예정 첫 인공위성 자력발사 3개월이상 지연될듯

러시아 발사체 반입 늦어져

오는 12월21일로 예정됐던 국내 첫 인공위성 자력발사가 최소한 3개월 이상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23일 항공우주연구원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당초 러시아 업체 흐루니체프와의 ‘발사체 시스템(KSLSㆍKorea Launch Vehicle System) 협력 계약'에 맞춰 이달 중순 도입 예정이던 1단 발사체의 국내 반입이 지연되고 있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운송용 치구(발사체 거치도구) 제작이 늦어져 1개월 이상 지연돼 8월 초에나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남 고흥에 건설 중인 나로 우주센터의 발사대 건설을 두고 러시아와 항우연 간 의견 차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항우연 측은 발사대 건설 기간을 16개월로 예상하고 당초 계획대로 올 연말 발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러시아 측은 최소 23개월 이상 걸린다며 발사대 시스템 준비가 내년 1ㆍ4분기 이후에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측은 또 100여 가지 시험항목을 안전성 담보를 이유로 최근 250여 가지로 늘릴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과부의 다른 관계자는 이에 대해 “턴키(일괄 수출 계약) 방식으로 됐던 계약이 부분 계약으로 바뀌면서 러시아 측의 이익이 많이 줄어들었다”며 “시험항목을 갑자기 늘린 데는 이런 측면도 작용하지 않았겠느냐”고 분석했다. 러시아 측이 최종 책임자인 만큼 안전성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러시아 측이‘몽니’를 부리는 측면도 있다는 해석이다. 이에 따라 첫 인공위성 자력발사는 나로 우주센터 발사대가 완공되는 9월 중순 이후에야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백홍열 항우연 원장도 “통계를 보면 처음 우주 발사체를 발사하는 경우 성공률이 27%밖에 되지 않는다”며 “기술적 결함 등으로 준비가 미흡한데도 일정에 맞춰 무리하게 발사체를 쏘아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발사 연기를 기정사실화 했다. 한편 항우연과 교과부는 발사대 시스템 설치 및 성능시험 완료 일정 등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거쳐 8월 중 발사 일정을 재검토 하는 한편 구체적 시기는 러시아 측과 협의를 거쳐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