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3~4월께 남북정상회담?

정동영·정형근등 여야 핵심인사들 잇단 전망<br>盧대통령도 무조건 '노' 안해 가능성에 무게<br>성사땐 내년 대선정국 메가톤급 변수될듯


남북 정상회담은 정말 성사될 것인가, 이뤄진다면 시기는 언제일까.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간의 정상 회담 가능성이 시간이 흐를수록 농도를 더해가고 있다. 청와대는 확답을 피하고 있지만 여야 핵심 인사들의 발언은 갈수록 구체성을 더하면서 이어지는 양상이다. ◇내년 3~4월에 정상회담?=정형근 한나라당 의원은 11일 남북 정상회담 추진설과 관련, “마무리 실무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남북 실무자가 해외에서 계속 접촉하면서 정상회담의 구체적 의제나 시기ㆍ장소 등에 대해 마무리 협상 중이라고 듣고 있다”고 밝혔다.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발언도 무게감을 더하고 있다. 정 전 장관은 지난 5일 중국 주재 특파원들과 만나 “대북 특사 파견과 남북 평화정상회담의 적기가 도래했다”며 내년 3~4월을 회담을 열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국내 한 언론은 지난달 9일 “남북 핵심 인사들이 지난 10월 중ㆍ하순 중국ㆍ몽골 등에서 연쇄 접촉을 갖고 정상회담 추진 등에 대해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전해 관심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흥미로운 점은 노 대통령도 회담 가능성에 무조건 ‘노’를 외치고 있지 않다는 것. 노 대통령은 뉴질랜드 국빈 방문 자리에서 “정상회담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며 북한은 혼자 마음대로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며 섣부른 예측을 경계했지만, 김정일 위원장의 의지에 달려 있다면서 회담 성사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대선에 뇌관 될까=이런 기류와 정부 소식통들의 말을 종합하면 정상 회담이 추진중인 것은 사실인 듯하다. 다만 이뤄질 확률은 반반쯤인 것 같다. 6자 회담이 성공리에 마무리될 경우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이 현실화할 경우 남북 정상 모두에게 ‘윈윈의 게임’이 될 전망이다. 남측으로서는 북핵 위험이 고조되고 있는데다 햇볕정책이 논란에 휩싸인 상황에서 상황 반전 카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 관계자는 “내년 대선 이슈는 경제(부동산)와 남북 문제가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유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감을 품었다. 북한으로서도 손해 될게 없다. 미국에 대해 적대 정책을 포기하도록 하고 ‘체제 보장’의 선물을 받을 수 있는 최적의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 국내 정치에도 상당한 변화의 바람을 불어올 공산이 크다. 정형근 의원은 “정상회담을 매개로 정계개편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 대통령의 이니셔티브가 강화될 수 있고 징치권의 이합집산 구도도 달라질 수 있다. 정상회담이 대선의 뇌관이 될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정황에 바탕을 두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