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사태] "자구계획 이행 면밀히 점검"

[현대사태] "자구계획 이행 면밀히 점검"김경림 외환은행장 김경림(金璟林)외환은행장은 13일 현대측이 발표한 자구계획과 관련, 『오늘 발표된 현대의 경영개선 계획이 차입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그 이행상황을 면밀히 점검해나갈 것이며 이행 되지 않을 경우 대처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金행장과의 일문일답. _오늘 발표된 현대측의 자구안으로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가 모두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나. ▲이번 현대 발표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주영(鄭周永)전명예회장의 자동차 지분을 매각해 확보된 자금을 현대건설의 회사채 매입용도로 활용하는 것과 현대건설 보유, 현대상선·중공업 지분을 장기 교환사채로 발행해 장기자금이 확보된다는 데 있다. 실현 가능성이 높은 이번 자구계획이 이행되면 단기차입금 위주의 현대건설 차입구조가 장기차입금 위주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동성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본다. _지배구조 개선은 미흡하지 않나. ▲모든 사안들이 오늘 함께 발표됐으면 좋았을 것 같다. 부실경영에 책임있는 인사들의 퇴진은 현대측이 조속한 시일 내에 주총 등 법적 절차를 밟아 이뤄질 것으로 믿고 있다. 3부자 퇴진은 정부와 채권단이 주문한 내용이 아니고 현대 스스로 약속한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도 현대측이 조만간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본다. _鄭 전명예회장의 자동차 지분은 채권단이 매입하나. ▲일단 채권단이 신규자금을 동원, 현 싯가로 매입하게 된다. 현대 자동차 주가가 저평가 돼 있기 때문에 부담은 없다고 본다. _현대상선과 현대중공업 교환사채 발행은 가능한가. ▲현대중공업 교환사채 발행가가 4만원으로 다소 높다는 지적이 있는데 현대 2만7,000원대인 중공업 주식도 저평가 돼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교환사채는 현대의 특수관계인 등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외국계 브로커와 교섭을 벌이고 있다. 현대측은 교환사채가 매각되지 않을 가능성은 없다고 장담했는데, 만일 매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채권단이 매입하는 것도 검토될 수 있다. 박태준기자JUNE@SED.CO.KR 입력시간 2000/08/13 19:00 ◀ 이전화면

관련기사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