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2 옵션쇼크 막을 안전장치 시급"

외국인 차익거래 급증… 이달들어 5조 넘어 사상최대<br>비중도 50%넘어 좌지우지… 동시호가제도 개선등 필요


외국인들의 차익거래 규모가 이달 들어서만 5조원을 넘어서며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최근 들어 전체 차익거래 시장에서 외국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어서면서 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2의 옵션만기 쇼크를 막기 위한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외국인들의 차익거래(매수ㆍ매도 포함) 규모는 이달 들어 18일까지 5조3,228억원에 달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2조6,971억원)보다 두 배나 많은 것이다. 옵션만기 쇼크를 일으켰던 지난 11일의 거래 규모(약 2조8,000억원)를 제외해도 2조5,000억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차익거래 시장에서 외국인들의 이 같은 독주는 최근에도 계속돼 하루 평균 거래액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 외국인이 전체 차익거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의 차익거래 비중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10%대에 머물렀지만 올 들어 급격히 높아지면서 월평균 40%를 훌쩍 넘었고 이달에는 무려 53%까지 치솟았다. 사실상 차익거래 시장을 외국인들이 좌지우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문제는 외국인들의 영향력이 급속히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할 국내 기관투자가들의 위상을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해까지만 해도 차익거래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관투자가의 비중은 이달에 10% 미만으로 뚝 떨어진 상태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진 것은 올 들어 기관투자가들의 현물 매도에 대한 거래세 부활 이후 기관들의 거래가 위축됐고 그 공백을 외국인들이 차지하면서 급격히 힘을 키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올 들어 기관투자가의 현물주식에 대한 거래세 면제가 폐지되면서 기관들이 상당히 위축된 반면 외국인들의 투자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며 "이러한 현상에 대해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11일 차익거래 시장에서 외국인들이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하면서 옵션만기 테러와 같은 사태가 재발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차익거래 때 콜 또는 풋옵션과 결합한 합성선물 투자가 최근 들어 기승을 부리면서 이러한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이 차익거래를 통해 시장을 교란시키는 행위를 막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매의 사전 신고 시간을 앞당기고 동시호가제도를 개선하는 등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11일 증시에 떨어진 옵션만기 폭탄도 선물과 옵션을 결합한 합성선물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라며 "지금 시급한 것은 제2의 도이치증권 사태를 막을 수 있도록 안전판을 마련하는 일이며 이를 위해 차익매매 관련 제도 등 대책을 세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