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고 고리대출파문 확산

연합회 "서민부담… 내려라" 업계 "더 올려야 소외층 흡수" 상호신용금고가 60% 고리대출에 너무 치중한다는 우려가 확산되자 신용금고연합회가 각 금고에 '자제요청'을 했으나 업계는 오히려 70~80%가 소액신용대출의 적정금리라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신용금고연합회는 14일 각 금고에 긴급 지도공문을 내고 '무보증 소액신용대출 취급시 서민계층이 부담하기 벅찬 고금리 대출상품 판매나 권유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금고연합회는 "일부 금고에서 사채대환용 대출상품을 개발하면서 일반상품에 비해 리스크 및 관리비용이 증가한다는 점을 들어 대출이자를 높게 책정했지만 다수 선의의 거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심사를 통해 신용도에 따라 금리를 차등화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같은 날 업계 선두주자인 현대스위스금고는 '신용금고의 소액대출과 이자율 제한'이라는 자료를 내고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소외받고 사금융업체를 찾는 서민층을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금리상한선을 70~80%로 더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현대스위스금고측은 이 자료에서 "현재 대금업계의 경우 연 80~140%의 금리를 받고 있으며 금고업계의 경우 연 28~60%을 받아 60~80%대 금리 공백이 생기기 때문에 금고를 이용하지 못하는 서민층은 금리가 두배나 높은 사금융을 찾아가야 한다"며 "소액신용대출은 연체가 곧 대손으로 이어질 확률이 큰 만큼 금리제한 수준을 70~80%로 정하는 것이 적정하다 "고 밝혔다. 이연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