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넷강국' 옛말, 우리나라 세계 5위 추락

우리나라가 '인터넷 강국'이라는 것은 옛말이 됐다. 세계 2위 자리를 지켜온 우리나라 인터넷 사이트 수가 지난해 부터 급감, 중국은 물론 일본과 홍콩에도 뒤진 것으로 밝혀졌다. 계명대 김영문 교수(경영정보학과)는 17일 미 알렉스사닷컴에서 제공하는 세계 500대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 조사한 결과 1월 현재 우리나라는 16개로 미국(212개), 중국(153개), 일본(29개), 홍콩(19)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세계 500대 사이트 중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12월 첫 조사에서 133개, 2003년 4월(2차) 134개, 2003년 9월(3차) 108개로 미국에 이어 꾸준히 2위 자리를 고수했으나 2004년 1월(4차) 67개, 2004년 7월(5차) 27개, 2005년 1월(6차) 16개로 급감했다. 반대로 중국은 4차 조사 때 204개, 5차 때 215개, 6차 153개로 나타났고 일본은 5차 때 25개였다가 6차 조사에서는 29개로 증가했다. 또 세계 30대 사이트 수에서도 우리나라는 2003년 9월 10개에 달했으나 2004년 1월 6개, 2004년 7월 3개로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 100대 사이트에 드는 우리나라 사이트는 다음(daum.15위,포털), 네이트닷컴(nate.19위), 네이버(naver.20위.포털) 등 단 3개 뿐이다. 이밖에 세이클럽(112위.채팅), 넷마블(116위.게임), 버디버디(155위.게임), 벅스(174위.음악), 옥션(186위.경매), 엠파스(240위.포털), 넥슨(283위.게임), 파란(321위.포털), 드림위즈(408위.포털), KBS(434위.방송), 마이크로소프트코리아(436위.s/w), 엠게임(443위.게임), 조선일보(461위.언론) 등이 세계 500대 사이트에 올라있다. 김 교수는 "인터넷 강국을 자처하던 우리나라가 벤처기업의 몰락과 한글중심의 서비스, 해외시장 미개척, 기술력 부족 등으로 점차 세계에서 밀려나는 추세"라고 지적한 뒤 "자금력을 갖춘 벤처기업이나 포털업체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지 않는다면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