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2년 말께면 기존 아날로그TV로는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없게 된다. 국회에 계류 중인 디지털전환특별법에 지상파 방송의 아날로그TV 방송 송출 중단을 5년 후로 못박아 놓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시청자의 디지털 전환 인지도가 턱없이 낮아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우려가 높다.
올 초 여론조사 결과 지상파 방송의 종료시기를 인지한 시청자가 26%에 불과했다고 한다. 디지털TV 보급률도 고작 25%선에 그쳤다. 이런 추세대로 가면 2012년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송방식을 둘러싸고 큰 소모전을 겪었다. 유럽방식과 북미방식을 놓고 지리한 논쟁을 벌인 끝에 북미방식을 지상파 방송의 표준으로 정했고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디지털전환특별법까지 만들었다. 오랜 시간을 통해 이뤄낸 만큼 디지털 전환에 이제는 속도를 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디지털전환특별법을 빨리 통과시키는 게 급선무다. 디지털전환특별법은 앞으로 정부가 제시할 디지털방송정책의 근간이 되는 법이다. 이 법이 통과되지 못하면 정부의 각종 디지털 방송정책은 순차적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디지털 방송 전환에 따른 각종 비용에 대한 신뢰할 만한 통계가 필요하다. 현재 디지털 전환 비용이나 디지털TV 보급률은 모두 각 방송사가 내놓은 자료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이 자체 조사한 자료는 아무리 공정하게 조사했다고 하더라도 전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
게다가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러한 자료를 근간으로 디지털 전환 비용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중간광고 도용해달라” “수신료를 인상해라”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것도 올 초 자료가 최신자료다. 신뢰할 만한 제3기관의 통계조사가 시급하다.
무엇보다 디지털 방송의 낮은 인지도를 하루빨리 높여야 한다. 아날로그 방송의 종료시점을 규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전환의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는 것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다. 정부와 방송사는 물론 가전업체 등이 힘을 모아 국민의 디지털 방송 인지도 제고에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