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백제인들도 '마약' 즐겼다?

강력 환각성분 함유 '오석산' 조달 기록 목간 발견

백제인들이 강력한 환각 성분을 함유한 마약의 일종인 ‘오석산(五石散)’을 조달해 복용했음을 보여주는 애용의 목간(木簡)이 백제 마지막 도읍지인 충남 부여에서 발굴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동방문화재연구원(원장 김성구)은 부여군이 ‘사비119 안전센터’를 건립할 예정인 부여읍 쌍북리 일대 1,035㎡(약 313평)을 발굴조사한 결과 묵으로 쓴 글씨 5글자가 확인되는 백제시대 목간 1점과, 목제 신발 1쌍, 목제 칠기 등을 발굴했다고 13일 밝혔다. 물품목록표에 해당하는 목간을 육안 판독과 국립부여박물관이 실시한 적외선 촬영 사진 등을 통해 해독한 결과 묵글씨는 ‘五石○十斤’(○는 미판독)이라고 적혀있으며, 그 이하 부분 목간은 떨어져 나간 상태로 발견됐다. 이 묵서(墨書)를 육안 판독한 서예사 전문가 손환일 박사는 “발굴단에서 미판독으로 처리한 '○' 글자는 '九'로 판단되며 마지막 斤은 무게 단위”라며 "따라서 이 묵서는 '오석 90근'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석(五石)은 다섯 가지 광물질 약을 섞어 만든 선약(仙藥)이라 오석산(五石散)이라 불린,일종의 마약이며 도교에서는 약효가 가장 뛰어난 선약으로 쳤고 특히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에 복용이 유행했다. 목간에 기록된 오석산의 무게가 만만치 않다는 점은 도교가 성행했던 백제의 사람들이 동시대 중국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마약을 즐겨 복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