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시민이 부르는 합창] 삼성테스코, 조각예술품 거리 설치

32개점에 문화센터 운영<BR>문화·나눔·환경경영 실천<BR>평생교육 공헌의 場 활용


홈플러스 영등포점에 설치된 조각 작품. 삼성테스코는 문화 경영의 일환으로 거리 조각작품 설치에 앞장서고 있다.

삼성과 영국 테스코사의 합작으로 설립된 삼성테스코는 지분 구조상으로 볼 때 외국기업이나 마찬가지다. 외국기업, 그것도 마케팅 비용에 인색한 할인점 업체가 국내 백화점들의 마케팅 일환이었던 문화센터를 도입해 성공적으로 운영하면서 문화 경영에 적극 나서고 있다. 홈플러스 문화센터는 도입 초기부터 할인점업체로서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영국 본사 관계자들도 문화센터 도입취지를 설명하는 이승한 사장에게 연신 ‘정말 괜찮은 거냐’며 의문을 제기했을 정도. 그러나 이 사장은 이른바 ‘풀뿌리 문화’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기업의 사회공헌 역할을 제대로 해보겠다는 경영철학에 입각해 문화센터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결과 홈플러스 문화센터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지역밀착형 사업을 지향하는 할인점의 특성을 정확히 간파한 탁월할 선택이었던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지난 99년 서부산점을 시작으로 도입된 홈플러스 문화센터는 현재 33개점포 중에서 경주점을 제외한 32개점에서 운영되고 있다. 학기별로 점포당 300~500개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강사수만도 학기당 2,000여명에 이른다. 올해로 도입 만 6년이 지난 홈플러스 문화센터는 도입 첫해 3,000여이던 회원수가 현재 연간 3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비약적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백화점보다 수강료가 20~30% 저렴한데다 전국 중소도시에까지 점포가 들어서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어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전국 최대 규모에 걸맞게 홈플러스 문화센터는 이제 문화생활과 구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기능, 문화체험의 중심지로서의 초기 역할 등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 고객 서비스는 물론 평생교육 개념에 공헌 기능을 부가시켜 무료 강좌, 홈플러스 어린이 합창단, 가족 환경캠프, 회원 자원 봉사단 등을 통해 지역민과 함께 사회공헌활동을 펼쳐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승한 사장은 “최초의 기업 운영 문화대학으로 발전시켜 평생 교육의 장으로 확대하는 것이 내 목표”라면서 “앞으로 홈플러스 문화센터를 홈플러스 경영의 3대축인 문화ㆍ나눔ㆍ환경경영의 실천의 장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문화센터와 함께 삼성테스코 문화 경영의 또다른 축으로 거리 조각 예술품 설치를 빠뜨릴수 없다. 삼성테스코는 전국 33개 홈플러스 매장에 60여개의 환경 조형물을 설치하면서 지역 문화예술 수준을 끌어올리고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데 일조하는 동시에 젊은 예술가들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들 작품은 제작할 당시 실제 크기보다 작은 미니어처도 동시에 제작하도록 한후 한자리에 모아 전시회를 가지기도 했다. 지난해 4월 전국을 순회하면서 열린 ‘홈플러스와 함께하는 작은 조각-큰 꿈’ 전시회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특별상을 받은 이불의 ‘사이보그’(영등포점)를 비롯 50m짜리 초대형 모자이크 조각인 이경복의 ‘여백’(부천 상동점), 6m 기둥에 3명의 샐러리맨이 정신없이 달려가는 모습을 담은 구본주 ‘맨발의 청춘’(의정부점) 등이 선보였다. 이사장은 “경영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예술의 경지까지 승화시킬수 있다고 믿는다”라면서 “이런 생각을 갖고 공공 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매장에 조각품을 설치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