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 나라, 이 바다를 지키는 수호신이 되소서"

'천안함 46용사' 해군장 엄수…이 대통령, 화랑무공훈장 추서

'천안함 46용사' 영결식이 29일 오전 10시 해군 평택 2함대사령부 안보공원에서 '해군장'으로 거행됐다. 영결식은 이명박 대통령, 이용훈 대법원장, 김형오 국회의장과 국무위원, 전군 주요 지휘관 및 유가족 등 2,800명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 가량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고 이창기 준위 등 46명의 희생장병 모두의 영정에 화랑무공훈장을 추서했다. 장의위원장인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조사를 통해 "당신들이 남긴 살신보국의 참군인 정신은 모든 국민이 자자손손 이어 누릴 자유와 번영의 씨앗이 될 것"이라며 "우리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준 세력들을 끝까지 찾아내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다짐했다. 천안함 생존장병인 김현래 중사는 추도사에서 "한명 두명 구조선에 올랐지만, 당신들의 애끓는 영혼에는 미처 닿지 못했다. 끝까지 함께 하지 못해 죄송하다"며 회한의 눈물을 흘렸다. 김 중사는 이어 "천안함은 온 국민들의 가슴속에 역사로 새겨졌다. 여러분과 우리를 갈라놓은 슬픔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의 바다를 지켜내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이 대통령 내외와 김태영 국방부 장관 등 주요 지휘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ㆍ분향, 영령들의 넋을 기리는 9발의 조총 발사, 해군 군악대 중창단의 '천안함가' 합창 등이 이어졌다. 천안함 생존장병 46명이 46용사의 영정을 들고 전우의 마지막 길을 함께 했으며 부두로 이동한 영현ㆍ영정을 향해 모든 함정의 승조원들은 뱃전에 도열, 최고의 예우를 표하는 '대함경례'를 올렸다. 같은 시각 천안함이 침몰한 서해 백령도 해안에서는 육해공군 장병과 백령도 주민ㆍ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화꽃을 바다에 띄우는 해상헌화 및 추모식이 열렸다. 충남 천안시청 버들광장에서는 시민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혼제가 열렸다. 한편 유가족들과 함께 2함대를 떠난 46용사의 영현은 이날 오후 국립대전현충원 사병묘역에 안장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