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BK21’ 수혜대상 다양화

연구비 중앙관리제· 교수 업적평가제 새로 도입<BR>사후평가 강화 “성과 부진땐 중도탈락”

‘BK21’ 수혜대상 다양화 연구비 중앙관리제· 교수 업적평가제 새로 도입사후평가 강화 “성과 부진땐 중도탈락”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내년부터 시행될 2단계 BK21사업의 수혜대상이 1단계 사업 때보다 훨씬 다양해질 전망이다. 또 연구비 중앙관리제, 교수업적평가제 등이 새로 도입되며 1단계 사업의 지역대학사업(학부지원사업), 대학원 전용시설사업(서울대) 등은 폐지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7일 오는 2006년부터 7년간 모두 2조1,000억원이 투입되는 '2단계 BK21사업 기본방향 및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연구중심 대학 육성과 함께 특성화된 지역대학원 육성을 핵심 목표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 교육부는 2단계 BK사업의 3대 중점 추진사항으로 ▦분야별 대학원 특성화 유도 ▦산업협력의 활성화 ▦평가 및 관리체제의 혁신을 들었으며, 특히 고급연구전문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겠다고 설명했다. 평가ㆍ관리체계 혁신에서 교육부는 그간의 사전적, 정량 위주의 규제에서 탈피해 사후적, 질적 평가관리로 전환하고 학문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사업참여 최소 교수 수를 지금보다 더 낮춰 경쟁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대학 자체 평가를 의무화하고 신설될 고등교육평가원을 통해 해외 석학ㆍ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상시 평가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산학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국내 경제 관련 단체나 국내외 기업 등이 참여하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신설, 대학ㆍ기업간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사업단 평가나 교수업적평가에서도 특허, 기술이전, 산학공동연구, 협력업체 취업률, 인적교류 등 산학협력 지표 비중이 대폭 강화되고 국내 기업들에 의한 산학협력 펀드 조성 등 산업체 실질적 투자 확대방안도 마련된다. 엄상현 BK21 기획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2단계 사업에서는 연구성과가 부진한 사업단은 중도에 탈락시키고 새 사업단을 참여시키는 작업이 활성화된다"며 "대학원의 학과 단위로 운영되는 사업단 수도 1단계보다 분야별로 1~2개씩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2단계 BK사업은 이달 중 공청회를 거쳐 11월 사업안을 확정, 연말까지 공고를 내고 내년 3월 대학별로 사업단을 최종 구성할 예정이다. 입력시간 : 2005/10/17 16:5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