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미술아카이브'는 역사다

김달진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장·한국미술정보센터 관장


소설가·시인 등을 꿈꾸는 문학도들이 해마다 신춘문예에 도전하듯 미술가들은 공모전을 통해 화려한 등단을 기대한다. 미술 공모전의 매력은 입상을 통해 작품을 평가받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와 파급력을 얻고 평생 중요한 경력으로 남을 수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근현대미술의 역사는 공모전과 궤를 같이했다. 일제강점기의 조선미술전람회부터 해방 이후 30여년 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1970년대 이후 언론기관의 한국미술대상전·동아미술제·중앙미술대전 등은 그야말로 미술의 역사다. 이 같은 '한국미술 공모전의 역사전'이 서울 마포구 홍익대 인근에 자리 잡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그 당시의 전시 도록과 팸플릿·상장부터 다양한 자료를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 맞춰 한국미술 공모전과 관련한 사건과 이슈를 담은 단행본도 펴냈다.

관련기사



이처럼 의미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는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이 위기에 처했다. 이제 두어 달 후면 마포구 홍익대 부근인 창천동 현 공간에서 쫓겨나 길거리에 나앉게 생겼다. 지난 40여년 간 수집한 미술자료들도 함께 말이다. 이곳은 방대한 소장자료를 보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국미술 해외진출 10년' '외국미술 국내전시 60년' '한국미술단체 100년' 등의 전시를 열었고 관련 서적도 출간했다. 우리 박물관에서 기획한 '한국근현대 미술교과서전'의 순회전시는 지금 경남도립미술관에서 한창이다.

역사를 입증할 자료는 역사 그 자체만큼이나 중요하다. 그러나 2010년 설립됐던 국립예술자료원이 4년 만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합병됐다. '움직이는 미술자료실'로 불리는 나는 지난 1년간 문화부 장관부터 국회의원·서울시장을 찾아다녔지만 역사를 중시하는 그들도 자료와 보관에 대해서는 힘을 써 주지 않았다. 올부터 문예연감은 책으로 발간되지 않고 온라인으로 발행한단다. 되묻고 싶다. 도대체 무엇이 문화융성인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