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린이용품 화학물질 기준 정한다

환경부 내년 업무 보고<br>놀이터등 11만곳 안전진단… 전기차 2500대 전국 보급


내년부터 젖병이나 장난감 등에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기준이 정해지고 이를 어기면 제조와 유통을 제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환경안전진단을 받는 어린이 놀이터와 보육시설이 11만곳으로 확대되고 전기자동차 2,500대가 전국 각지에 보급된다. 유영숙 환경부 장관은 27일 오후 정부 과천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12년 업무계획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업무계획에 따르면 환경부는 우선 위해성이 판명된 프탈레이트와 주석화합물류 등 5개 물질을 어린이 용품에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는지 기준을 마련한다. 또 현재 6,585곳의 어린이 놀이터와 보육시설에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진단을 오는 2016년까지 전국 11만975곳으로 확대한다.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일으키는 건축자재의 경우 '환경성 질환 유발물질 표시제'를 도입해 관리하고 세정제ㆍ방향제ㆍ탈취제ㆍ물티슈 등 4종을 대상으로 생활용품 원료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와 사후관리가 실시된다. 또 저소득 가정 등 2,000가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와 집먼지진드기 등 환경성 질환 요인을 진단하고 개선해주는 '친환경 건강 도우미' 서비스를 내년부터 제공하고 농어촌 지역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 건축물 처리도 지원한다. 온실가스 감축 추진을 위해서는 그린카드 150만장과 전기자동차 2,500대를 확대 보급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차량 가격에 차등을 두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외에 환경부는 지구 온난화 추세와 4대강 사업 이후 달라진 여건에 맞춰 수질관리 방침을 개선하고 도시 생태 공간을 확충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