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새 5천원권 리콜…혼란·혼선 확산

시중 공급된 물량은 정상사용 가능

화폐 리콜이라는 사상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혼란과 혼선이 잇따르고 있다. 새 5천원권에 대한 리콜 발표 이후 네티즌들의 비난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문제가 된 홀로그램 없는 지폐 이외에도 각종 불량 화폐에 대한 신고와 문의가잇따라 당국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국조폐공사는 이번 리콜 조치로 홀로그램이 없는 5천원권 '소동'을 잠재워보려했으나 오히려 사태를 더 키운 셈이다. ◇ 한은 당혹 "리콜은 지나친 표현" 23일 발권당국인 한국은행은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조폐공사의 '리콜(Recall)' 표현에 대해서는 내심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통상 리콜이라는 것은 '제품의 결함을 회사측이 발견하면 생산 일련번호를 추적해 점검, 교환, 수리해 주는 소비자보호 제도'인데 이번 새 5천원권 문제는 엄밀한의미에서 리콜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주장이다. 즉, 시중에 공급된 새 5천원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한은에 보관중인 물량에 대해 재점검해 문제가 없으면 다시 되돌려 놓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언론이나 인터넷을 통해 조폐공사의 리콜 발표를 접한 상당수의 시민들은 새 5천원권 전량이 수거되는 것으로 오인하며 한은이나 조폐공사측에 문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이번에 리콜대상이 된 약 1천700만장을 모두 불량지폐로 알고 시중에 공급된 10장 가운데 1장이 불량이라며 섣부른 비난을 하는 시민들도 있다고 한은측은전했다. 한은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재점검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실수를 인정하고 국민 신뢰를 높인다는 차원에서 발표한 것이 혼란을 더 부추긴 셈이 됐다"며 "이번 조치로 인한 국민 불편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도 최소한 10여장의 불량 5천원권이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찾기 위한 조치"라고 덧붙였다. ◇ 불량 의심 새 5천원권 발견 '속출' 홀로그램이 없는 새 5천원권 지폐가 한은과 조폐공사에 의해 제조상 문제임이확인되자 여기저기서 불량이 의심된다는 신고와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한은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 이후 새 5천원권의 인쇄가 기울어져 있다는 신고에서부터 '문자에 이물질이 끼어있다', '새 5천원권에 다른 무늬가 들어있다'는 등의신고가 줄을 잇고 있다. 또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도 홀로그램이 없는 새 5천원권을 본 적이 있다는 네티즌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당국을 당혹케 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네티즌들은 벌써부터 희소가치를 노려 인터넷 경매사이트 등에서불량으로 의심되는 지폐를 거래하고 있어 앞으로 이같은 사례는 더 발생할 것으로보인다. 그러나 한은은 이에 대해 설령 홀로그램이 없는 등의 문제가 있는 새 지폐라도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홀로그램의 위치가 약간씩 다른 것은 정상 지폐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다른 지폐를 자세히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지폐마다 미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며 "이번에 문제가 된 홀로그램이 없거나 잘못 부착된 것과는다르다"고 말했다. ◇ 네티즌 "화폐수출국으로서 수치스러운 일" 조폐공사의 새 5천원권 리콜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일제히 한은과 조폐공사를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한은 인터넷 홈페이지의 자유게시판과 포털사이트 등에는 이번 리콜에 대한 책임을 묻는 댓글이 쏟아졌으며 일부 네티즌들은 책임자 처벌, 국정조사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은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린 한 네티즌은 "이번 사태를 보면서 조폐공사의도덕적 해이를 보게 된다"면서 "조폐공사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네티즌도 "화폐수출국이라고 자랑하더니 (새 5천원권은) 벗겨지고 번지고 문제가 한두가지가 아니다"며 "책임자를 처벌하고 전량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한은은 이번 '리콜' 대상이 된 약 1천700만장의 새 5천원권을 조만간 조폐공사로 넘겨 재점검 작업을 거친뒤 문제가 있는 지폐는 폐기하고 정상 지폐는 되돌려 받는다는 방침이다. 한은 관계자는 "지폐 이송은 극비리에 이뤄지는 일로 빈틈없이 이송과 재점검작업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