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마철 클럽 관리 어떻게…

백에서 꺼내 통풍 잘되는 곳에 보관<br>헤드가 위쪽으로 가도록 세워둬야

회사원 남모(45)씨는 최근 필드에 나갔다가 피칭웨지로 샷을 하던 도중 헤드가 30m쯤 날아가는 황당한 일을 겪었다. 전방으로 날아가 사람이 맞지는 않았지만 지금도 떠올리기 싫은 아찔하고 겸연쩍은 순간이었다. 멀쩡하던 클럽헤드가 왜 날아간 걸까. 수리를 받으러 갔다가 “비 때문”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빗속에서 라운드한 뒤 클럽을 제대로 닦지 않아 헤드 연결 부위에 스며들었던 물기로 스틸 샤프트가 서서히 녹슬었던 것. ‘진짜 강태공은 채비함을 열어보면 알 수 있다’고 한다. 골퍼 역시 라운드 이후 용품 관리 행동에서 핸디캡이 드러난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골프채는 습기에 약해 외관과 성능에 문제가 생기기 십상이다. 장마철에는 플레이뿐 아니라 클럽 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목돈들이지 않고 오래 쓸 수 있다. 일단 빗속에서 라운드를 했다면 클럽에 묻은 물기를 닦아준 뒤 헤드커버를 벗기고 백에서 빼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한다. 반드시 헤드가 위쪽으로 가도록 세워둬야 위 사례와 같은 일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트렁크에 그대로 두는 것은 금물이다. 통풍이 되지 않고 온도가 올라가 클럽 성능이 저하되고 자동차와 골프백에 악취도 생긴다. 그립은 고무 재질인 경우 물기를 닦은 후 그늘진 곳에서 말리고 실 그립은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해 건조시킨다. 스틸 샤프트는 중성세제를 이용해 닦은 후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고 일주일 이상 사용할 일이 없다면 시너 또는 WD-40 등의 녹 방지 약품으로 닦아놓는 게 바람직하다. 그라파이트 샤프트는 마른 천으로 부드럽게 닦아준다. 골프화는 그늘에서 말린 뒤 나머지 습기를 흡수하도록 신문지를 집어넣는다. 음식물 등에 들어 있는 실리카겔을 모았다가 신발 속에 넣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