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출상품 새얼굴 찾아야

100대 수출품목중 절반이상 中·日과 중복한ㆍ중ㆍ일 3국의 주력 수출상품 중복현상이 심해지고 있어 수출상품의 다변화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한ㆍ중ㆍ일의 100대 주력 수출상품 중복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나라 100대 수출품목 중 중국이나 일본과 겹치지 않은 품목은 전체의 절반이 채 안되는 47개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품목수는 지난 96년 59개에서 98년 61개로 소폭 늘어난 후 2000년 54개에 이어 올 상반기 47개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반면 ▲ 중ㆍ일 양국과 공통적으로 겹치는 품목은 15개 ▲ 중국과 겹치는 품목은 29개 ▲ 일본과 겹치는 품목은 39개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전자부품ㆍ컴퓨터부품ㆍ입출력장치 등이 모두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과는 반도체 및 승용차ㆍ자동차부품ㆍ선박 등 수송기계류, 중국과는 송수신기기ㆍ가전제품 및 부품에서 중복된 품목이 많았다. 이러한 추세는 최근 수년간 중국의 추격이 강화되면서 기존에 일본과 한국에서 생산한 제품들과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3국간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여 수출상품의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장상식 수석연구원은 "3국의 주력 수출상품 구성이 빠른 속도로 유사해지고 있어 해당 품목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새로운 수출상품 개발이 현안으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