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자재값 상승 지속, 국내 체감경기 악화될듯"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교역조건 나빠져<br>실물자산 투기적 가수요 증가 가능성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로 인해 국내 체감경기 악화 및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와 함께 중국 등의 수요증가로 수급불균형이 확대되고 달러약세까지 겹쳐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금융센터는 8일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 동향 및 향후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뿐 아니라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미국의 금리인하 이후 달러 가치의 급락, 수급불균형 지속 등으로 지난 8월 중순 이후 최근까지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당분간 강세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달러 약세는 미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유인을 저하시키면서 투자자금을 원자재 등 실물자산으로 이동시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유발한다”며 “국제 원자재 가격은 달러로 표시되므로 달러 약세는 원자재 수출국들의 수익 감소 및 구매력 저하를 초래해 가격 인상요인으로도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미 금리 인하 및 중국 등 신흥국들의 성장 지속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높아짐에 따라 원자재 등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 및 투기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금 등 원자재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헤지(Hedge)하려는 경향이 강해진다”며 “이에 따라 투기적 가수요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중국발 수요 증가세 지속, 바이오 연료 생산 확대 등으로 인한 수급불균형 확대에 달러 약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가세해 당분간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은 2002년 1월 102에서 올해 7월 69.8로 크게 악화된 상태로 앞으로 원유를 포함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수입가격이 급등해 교역조건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교역조건 악화는 경상수지 및 실질 국민총소득(GNI)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해 결국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 및 체감경기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곡물가격의 급등세는 소비자들의 체감물가를 상승시켜 소비감소 등 실물경제를 악화시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국제금융센터의 한 관계자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뿐만 아니라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