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콘텐츠 육성부터

유삼렬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방송위원회가 발표한 채널정책안이 장안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지상파 사업자간의 광고시장과 방송권역에 대한 이권뿐 아니라 유료방송사업자인 위성방송사업자와 케이블TV간의 사업영역 다툼은 이제 거리투쟁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양상은 우리나라 방송시장에서 아직까지는 채널사용 사업자보다 비교우위에 있는 플랫폼 사업자들, 즉 채널 편성권을 가졌거나 혹은 직접 채널을 운영하는 지상파 방송 같은 사업자들의 영역다툼으로 비치는 것이 사실이다. 이 같은 플랫폼 사업자간의 다툼은 새로운 미디어가 계속 출범함에 따라 더 복잡해져 서로 양보할 수 없는 사활을 건 싸움이 될 전망이다. 결론은 물론 매체간 균형발전을 고려한 신중한 선택이 이뤄져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방송통신융합시대에 새로운 독과점사업자를 양산할 우려에 대해 정책당국이 심도있는 논의를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 방송위원회의 채널정책안이 현실화할 경우 최대 피해자는 엉뚱하게도 채널사용 사업자인 PP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야말로 고래 사움에 새우등 터지는 격이다. 그것도 나 죽겠다는 말 한마디 하지 못하고 말이다. 위성방송과 케이블TV는 전문화한 채널에다 콘텐츠 차별화로 다양한 문화를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매체로 출범했다. 그런데 원래 취지와는 다르게 지상파 방송사들의 영역확장을 위한 매개체로 위성방송과 케이블TV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물론 시청자들은 지상파 채널을 무료로 제공받을 시청권을 가진다. 그것은 지상파 방송사가 국민의 공공자산인 주파수를 사용하는 특혜사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사들은 자체적으로 중계기 등을 설치해 난시청을 해결해야 한다. 상황이 이런데도 채널정책의 주요 쟁점들은 지상파 방송의 위성방송 재송신 또는 지역민방들의 SO 의무재송신 등 공영방송도 아닌 민영 혹은 상업적 성격의 지상파 방송사에 유료방송을 통해 의무송출을 하게 한다는 것이다. 현재 등록된 채널사용 사업자는 총 200여개를 넘어섰다. 이중 위성방송이나 케이블TV에 송출되는 채널은 110여개로 채널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나마 전체 SO의 반 이상에 송출하는 것은 더 힘들고 모든 케이블TV 시청자에게 노출되는, 이른바 기본형 채널은 10개 미만으로 이에 편성되기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다. 이 같은 현실에서 지상파 채널 수를 늘리고 의무화하는 것은 PP의 입지를 더욱 좁게 만드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위성방송의 경우도 이번 채널정책안에 따라 새롭게 편성할 채널이 지상파 아날로그 31개 채널을 포함, 케이블TV와의 형평성을 위해 지상파 HD채널까지 포함되면 무려 110개에 이른다. 기존 채널 편성의 배가 넘는 신규 지상파 채널을 비집고 PP채널은 생존권을 다퉈야만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