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기업 택시' 나온다

국토부 "가맹사업 활성화 위해 참여 유도"<br>중소업체 반발 거셀듯


정부는 광역콜이나 일산콜 등과 같은 택시가맹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기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안에 삼성이나 KT 같은 대기업들이 개인이나 택시회사를 끌어들여 운영하는 삼성택시ㆍKT택시 같은 대기업 브랜드 택시가맹사업자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 브랜드 택시를 만들어 승객이 택시를 탈 때 선호하는 브랜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대기업이 택시사업자와 손을 잡으면 친절ㆍ안전ㆍ서비스 등의 품질이 개선돼 택시 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지난해 말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개정해 여객자동차운송가맹사업을 신설, 택시운송과 여객특성에 따라 프랜차이즈를 통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했다. 지자체별로 일정 기준(예 서울시 5,000대 이상)을 충족한 기업이 가맹사업을 신청하면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관광택시나 늦은 시간 귀가하는 여성을 위한 여성전용택시, 문서 배달이나 쇼핑 등을 대신하는 심부름택시처럼 특화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됐다. 일본에서 특화된 서비스로 유명한 MK택시가 롤모델이다. 현재 지자체별로 자체 기준을 충족한 브랜드 택시가 운영되고 있지만 승객 입장에선 택시마다 큰 차이점을 느끼지 못한다. 최근 일부 업체의 서비스가 개선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택시업계는 수익성이 악화돼 서비스 개선을 할 수 없는 악순환에 빠지고 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려는 것이 대기업의 참여다. 택시 영업방식도 손님을 찾아 다니는 배회식에서 콜(call)을 기반으로 한 대기식으로 전환해 사업자의 비용을 절감하고 영세 택시업체의 실질적 대형화를 통한 수익 증대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 입장에서는 기업 브랜드를 홍보하는 광고 효과를, 택시업체에는 수익증대를, 소비자 측면에서는 양질의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며 "차별화된 서비스에 따라 손님도 늘어나고 서비스 수준에 따라 요금도 더 받을 수 있어 택시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대기업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일반 및 개인 택시운송사업자를 일정 규모 이상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기존 사업자들이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대기업 진입에 대해 중소 택시회사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기존 브랜드 택시 몇 곳이 가맹사업자로의 전환을 검토하고 있지만 가맹사업이 정착되면 일반 기업체에서도 택시 사업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며 "조만간 관련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