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르바이트ㆍ인턴경력 어필하라

취업이 경력자 중심의 소수ㆍ수시채용으로 바뀌면서 아르바이트나 인턴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마땅한 경력이 없는 신입 구직자들에게는 아르바이트나 인턴 경력이 대학 생활의 필수 경력 사항이 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당수 기업에서 직무와 관련된 경력자를 선호하고 있어 전문직 아르바이트나 인턴 경험은 취업 성공의 첩경이 될 수 있다. 실례로 인터넷 취업포털 잡링크(www.joblink.co.kr)가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입사에 가장 큰 도움이 된 것 1순위로 `실무경험`을 꼽았다. 그러나 좋은 조건만 갖추었다고 해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대로 어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경쟁력 있는 아르바이트나 인턴직 공략을= 취업이 장기화 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먼저 자신의 진로를 정하는 것이다. 그래야 자신의 경력에 도움이 되는 아르바이트나 인턴직을 공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마케팅이나 홍보, 리서치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설문조사나 이벤트, 상품홍보 등의 아르바이트가 적당하다. 컴퓨터의 운영원리를 알고 다룰 줄 안다면 웹 마스터나 프로그래머, 컴퓨터 조립 등을 해볼 만 하다. 이러한 경력은 취업 때 커다란 `인센티브`로 작용한다. ?◇이력서엔 구체 업무내용 써라= 취업의 첫 관문은 이력서라고 할 수 있다. 이력서를 작성할 때는 단순히 얼마동안 어떤 기업에서 아르바이트나 인턴을 했다는 것만 기술하지 말고 자신의 업무 내용을 간략하게 적어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기업에서 ○○아르바이트`라고 적은 다음 `엑셀과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문서작성 수행`이라고 적거나 인턴경력자라면 `○○프로젝트 참여` 등 이라고 적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최근 인턴사원도 정규직 사원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인사담당자에게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아르바이트나 인턴의 업무내용을 이러한 방식으로 소개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인사담당자는 그 분야에 전문화된 인재를 우선 순위로 찾고 있으므로 아깝더라도 본 업무와 큰 상관이 없는 경력이라면 최대한 간략하게 기입하거나?빼??것이 좋다. ◇전문분야 업무 능력 보여라= 아르바이트나 인턴과정을 통해 전문분야의 업무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음을 보일 수 있는 기회는 면접이다. 예를 들어 면접에서 가장 흔하게 나오는 질문 중 하나는 “왜 우리 기업에 혹은 직무에 지원했나”이다. 이때 아르바이트나 인턴 경험을 통해 배우게 된 지식을 적절히 전달하면서 해당 분야에 대한 자신의 주관을 피력한다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더불어 경쟁사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다면 입사희망 기업과 비교해 가며 장럽保“?개선점 등을 이야기 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입사담당자는 그러한 지원자를 전문가의 시각에서 다시 보게 될 것이다. ◇일화를 소개해라= 아르바이트나 인턴과정을 거쳤던 기업에 지원을 했다면 면접을 통해 자연스럽게 그 때 당시의 일화를 소개해 보도록 하라. 예를들어 “예전에 귀사의 ○○에서 아르바이트로 일할 때 일을 도와주시던 ○○씨의 친절함에 끌려서 귀사에 입사할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등을 이야기 한다면 면접관의 관심을 끌 수 있다. 한현숙 잡링크 사장은 “입사지원자들의 실력이 점차 평준화 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차별화는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필수 요건이 될 것”이라며 “자신을 차별화 할 수 있는 노력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오철수기자 csoh@sed.co.kr>

관련기사



오철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