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산ㆍ광양항에 다국적 물류기업 5~6개 유치

정부는 동북아 물류중심을 실현하기 위해 부산신항과 광양항 배후부지에 국제물류단지를 조성, 5~6개의 다국적 물류기업을 올해 안에 유치키로 했다. 또 국가물류개선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운영함으로써 지난해에 발생한 화물연대 운송거부 사태와 같은 물류대란의 재발을 막을 방침이다. 장승우 해양수산부 장관은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04년 주요 현안 및 정책과제를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해양부는 상반기중 부산항과 광양항의 배후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 투자기업에 각종 혜택을 주고 해외 투자설명회를 열어 다국적 물류기업을 유치키로 했다. 정부는 특히 미쓰비시(三菱)종합상사 등 5~6개 일본 기업을 연내에 유치하기 위해 일본인으로 구성된 `투자유치 에이전트`를 현지에서 운영하면서 1대1 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또 부산신항 배후부지 22만평 개발시기를 당초보다 2년 앞당겨 2006년 완공하고 광양항도 20만평의 배후부지를 2006년까지 조기에 조성키로 했다. 국내 물류시스템 개선을 위해 정부는 해양부 해운물류국장과 건교부 수송물류심의관을 공동단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육상과 해상의 연계 수송망을 구축하는 등 기업의 물류애로를 능동적으로 해소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주요 항만에 첨단 무인자동화 하역시스템 도입, 크레인 증설 등을 통해 홍콩, 싱가포르 항만과 같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오철수기자 csoh@sed.co.kr>

관련기사



오철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